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단지주혈
- 효자각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효자문
- 선돌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밀양박씨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0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 묘역에서 동남쪽으로 100m정도 떨어진 산기슭에 특이한 비석이 하나 있다. 사각기단, 비신, 지붕돌은 일반적 양식인데 비문형식이 특이하다.우측면에 ‘벽진이공 련지묘(碧珍李公 堜之墓)’라고 묘비명이 있고 전면에서 좌측면으로 돌면서 비면 상단부에 ‘증좌승지이공묘비(贈左承旨李公墓碑)’라는 전(篆)이 있고 전면 우측에 ‘유명조선국 증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겸 경연춘추관 이공묘갈명(有明朝鮮國 贈 通政大夫 承政院左承旨兼 經筵春秋館 李公墓碣銘), 파평 윤증 찬(坡平尹拯 撰), 증손남주원 정복 서병전(曾孫男 主員 挺襆 書幷篆)’이라 쓰고 비문 본 내용이 적혀있다. 좌측면에는 ‘증가선대부 이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부총관(贈 嘉善大夫 吏曹參判兼 同知義禁府事 五衛都摠府副總管), 배 정부인 전의이씨(配 貞夫人 全義李..

주덕읍 사락리에 자리한 벽진이씨묘역에 있는 이지웅(1628~1701)의 묘입니다.이지웅은 이련의 아들로 이상급의 손자이기도 합니다. 이상급의 묘역을 바라보며 좌측에 자리하고 있습니다.이지웅의 동생인 이지걸의 묘는 맹동면 쌍정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만부(萬夫). 할아버지는 병조참지 이상급(李尙伋)이며, 아버지는 이연(李堜)이며, 어머니는 의빈부도사 이구준(李耉俊)의 딸입니다.1654년(효종 5) 사마시에 합격하여 선릉참봉(宣陵參奉)이 되고, 그 뒤 선공감봉사·상서원직장을 역임하였습니다. 1677년(숙조 3) 형조전랑을 거쳐 안성군수·김제군수 등을 지낸 뒤 한성부서윤에 이르러 사직하고, 만년에는 학문으로 보냈습니다. 이상급 가계이유번(李有蕃) ㅡ 이석명(李碩明) ㅡ 동몽교관(童蒙..

사락리에 있는 안동인 김발의 묘입니다.김발은 안동김씨의 입향조입니다.김발의 묘를 중심으로 안동김문의 묘지가 몇 기 더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락리 마을 자랑비를 지나 산모퉁이를 돌면 아랫말 서쪽 산등성이에 전주이씨 묘역 이 있고 그 건너에 안동김씨 묘역(安東金氏墓域)이 있다. 묘역 안에는 7기의 묘가 있 는데 이곳이 안동김씨 입향조의 묘역이라고 한다. 위쪽에 있는 2기의 묘에는 상석, 망주석(望柱石, 촛대석), 석인(石人, 文人石)이 갖추어져 있고 아래쪽 4기의 묘에는 상석과 망주석만 있는데 가운데에 김발의 묘에는 상석, 망주석, 석인상, 묘비가 갖추어져 있다. 묘비는 사각형 화강암 비좌, 대리석 비신, 화강암 지붕돌인데 비신(碑身)에는 “증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행어모장군 행충좌위 부사과..
참 가슴이 아린(?)곳이다어린시절 소풍을 간다하면 탄금대나 호암지 두곳중 한군데였으니탄금대라는 지명과 장소는 어린나의 가슴속에 참 이쁘게 각인되여 있었다소풍가는날이면 옆으로 비껴서 프라스틱 물통을 차고호주머니속에서 달랑거리며 소리내는 십원짜리 동전 몇개에 행복이 있었다점심시간 엄마가 싸오신 김밥아닌 맨밥을 먹으면서도 참 좋았다는 생각이 들었다호주머니속에 십원짜리 몇깨는 방개를 이용한 뽑기나 아니면 발굴려 만드는 솜사탕에 빼앗기고소풍이 끝나고 돌아올때는 보물찾기에서 얻은 연필 몇자루가 손에 쥐여 있었다 지금은 참 많이 바뀌였다먼지 풀풀나리던 신작로를 따라 걷던 소풍길은예쁘게 잘 단장이 되여 있고연꽃이 참이뻤던 옷갓도 시민들을 위한 휴식공간과 운동장으로 바뀌였고현대화된 탄금대에는 많은 조형물들과 더불어충..

비 내리는 미륵사지를 찾아 보았습니다.미륵부처의 점안식 행사로 바쁜데 비가 내리네요.다시 태어나실 미륵부처님 모습을 몇 장 담아 보았습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지역에는 수주리, 월은리, 문박리, 팔봉리가 있었다. 이 중 문박과 수주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문주리 (文周里)라는 명칭이 처음 만들어졌다. 문주리에 대한 기록은 1760년에 발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처음 나온다. 당시 유등면은 주음성리, 산정리, 팔봉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팔봉리가 현재의 문주리이다. 1898년에 나온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현재 문주리의 행정리를 이루는 팔봉, 수주, 월은이 나온다. 1912년에 나온 『구한국 지방행정구역 명칭일람』에 보면 팔봉, 수주, 문박, 월은이 나온다. 1914년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이들 네 개 마을이 합쳐져 문주리가 처음 생겨났다. 그리고 유등면이 이안면과 합쳐지면서 문주리가 이류면[현 대소원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