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충주박물관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문경새재
- 효자문
- 보성오씨
- 상당산성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한독의약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법주사
- 경주김씨
- 부여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진천군(鎭川郡) (23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근간에 새로 조성하여 세워놓았습니다.초평면 용정리 경주인 이시발과 그의 부친무덤옆에 있는 무덤조성을 위한 후손들의 묘원환수비입니다. 묘역 환수비 전면에는 환수비를 세우게 된 경위를 적어 놓았으며 후면에는 비를 세울 때 물질적 도움을 준 종친들의 이름이 적혀있습니다.

초평면 용정리에 있는 경주인 이대건의 묘지입니다.아들인 이시발의묘와 함께 이시발의 손자인 이인환의 묘와 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묘지에는 호석을 둘렀으며 후손들에 의하여 석물이 후보되어 있습니다. 아들인 이시발의 신도비와 함께 있는 이대건의 신도비이며 쌍오비각이란 이름으로 중북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대건(李大建)의 본관은 경주로, 고려 후기 유학자로 명성이 드높았던 익재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이다. 사마시에 급제하였으나 25세라는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아들이 후에 영의정으로 추증된 이시발(李時發)이다. 이시발이 임진왜란 때 의병장 박춘무(朴春茂)를 따라 공을 세운 데 이어 1596년(선조 29)에는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고, 1624년(인조 2) 체찰부사로서 이괄(李适)의 ..

농촌인구의 감소는 더욱 더 농촌의 삶의 질을 떨어트려 놓는다.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사라지니 더욱 더 농촌의 여러가지 인프라구축에 한계가 있고 학교는 폐교되며 인구의 수가 줄으니 더욱 더 농촌의 모습은 활기를 잃어간다. 연담리는 초평면에 속해있으며 자연마을로는 반여울[伴灘], 상반, 새터말, 소두머리, 양화절이[楊花], 하반 등이 있다. 반여울은 앞 냇가의 여울이 반달모양으로 생겨 붙여진 지명이다. 양화절이는 옛날 양화절에 다니는 독실한 불교신자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특산물로는 벼, 고추, 담배, 인삼 등이 있다.이주상의 공적비는 예전에 구성초등학교 오상분교가 자리하고 있는 오상초등학교터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 오상초등학교는 현재 폐교되여 아이들의 소리를 더 이상 들을수가 없다.이주상은 오상초등학..

이인환은 1633(인조 11)∼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생곡(生谷). 이대건(李大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서 이시발(李時發)이다. 아버지는 이경휘(李慶徽)이며, 어머니는 심대복(沈大復)의 딸이다.1660년(현종 1) 진사시에 합격하고, 166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정언·수찬 등을 지냈다. 지평·부수찬을 거쳐 1675년(숙종 1) 암행어사가 되었으며, 1680년 사간·집의, 1681년 응교·승지, 1684년 대사간이 되었다.1685년 이이(李珥)의 신원(伸寃: 원통함을 풀어버림)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대사성·경기도관찰사·개성부유수를 거쳐 1697년 도승지를 역임하고 이조판서에까지 올랐다. [李寅煥]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초평면 용정리 양촌마을(草坪面 龍亭里 陽村마을) (tistory.com) 초평면 용정리 양촌마을(草坪面 龍亭里 陽村마을) 용정리 양촌마을은 초평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국도 34호선을 따라가거나 초평천 건너 지전마을을 통하여 갈 수 있다. . 관련 유적으로 지전마을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2호인 진천 이시발 king6113.tistory.com 쌍오정터에 관한 글을 읽다 보니 문득 쌍오정터에 관한 궁금증이 더해진다. 몇번을 다른 유적을 찾으려고 방문한 용정리이지만 시간을 내어 또 찾아 보았다. 사람들의 머릿속과 글에만 존재할 뿐 쌍오정터를 찾으려니 대략난감이다. 접근할수 있는 방법이 수풀이 너무 우거져 접근이 쉽지가 않다. 쌍오정자터도 그런데 정자터 밑에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청령대라는 각자는 접근방법..

2013년 이권종이 위원장이 되어 조성한 친환경지구 조성기업기념비입니다. 조성비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의친환경지구 조성사업은 작목반장 이재화의 헌신적인 노력과 작목반원 및 동민의 적극적인 협조하에 국비 일억일천육백만원 도비 구천육백만원 군비 구천육백만원 자부담 일억오천팔백만원 총 사억육천육백만원을 투입하여 조성시킨 사업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이 비석을 세웁니다. 2013.10.3 사업추진위원장 이권종 수의마을 노인회관 옆 화단에 서있습니다. 초평면 용기리 수의마을 - 인터넷진천자치신문 (jcjachi.com) 초평면 용기리 수의마을 - 인터넷진천자치신문 덕천군 이인(李仁) 이주 후 400년 역사 간직 전통의 맛과 정취를 그대로 느껴볼 수 있어 진천군 상당수 지역은 산업화가 확대되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