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대추하면 보은군
내북면 동산리 풍경(內北面 東山里 風景)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22. 11. 21. 12:30

본래 청산현(靑山懸) 주성면(酒城面) 지역으로 1906년 보은군 주성면(酒城面) 관할로 변경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창상리(倉上里)와 신기리(新基里) 일부를 병합하여 동산리(東山里)라 하고 내북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
- 상-촌(上村)[마을] 청룡 동쪽에 있는 마을. 동산리에서 제일 위가 됨.
- 새-터(新)[마을] 청룡 서쪽에 있는 새로 된 마을.
- 소안-이(素安)[마을] → 수안이.
- 수안-이(素安)[마을] 청룡 남쪽에 있는 마을. 화전리가 수해를 입어 현 위치로 이주할 때 숲 안쪽이 된다하여 ‘숲안’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수안이’가 됨. 마을 앞에 숲이 울창했다고 함
- 신 - 기(新基)[마을] → 새터
- 쐬안 - 말 [마을] 청룡 동쪽에 있는 마을. 바위가 흉하여 보이지 않도록 나무로 숲을 만들어 가렸다고 ‘숲안말’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였음.
- 양지 - 말(陽地村) [마을] 새터 남쪽 양지에 있는 마을. ‘양지촌’이라고도 부른다. 잿들이 있었던 마을을 옮겨 새로 조성한 마을임.
- 청룡(靑龍) [마을] 동산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 뒷산이 옛 주성면의 좌청룡(左靑龍)에 해당된다 함. 청룡은 풍수지리설에서 동쪽 바위를 맡은 상징인 용으로 동쪽을 뜻하는데 마을 이름 ‘동산(東山)‘은 바로 이곳에서 비롯된 것임.





기타지명
- 국수 - 골[골] 새터 서북쪽 도원리 한자골에 있는 골짜기. 국수가락처럼 골이 깊음. 나라에서 중요한 군사요지로 사용했다 함.
- 노산 - 골[골] 새터 동쪽에 있는 골짜기. 밭을 갈면 기와조각이 나온다 함. 한여름에도 찬물이 흘러 ‘노상골’이라 하던 것이 변한 것임.
- 동산 - 골[골] 상촌 동쪽에 있는 골짜기. 내북파출소 뒤쪽임.
- 돼지 - 골[골] 새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도원구역임.
- 먹굴 - 펑개 [버덩] 새터 서북쪽에 있는 버덩. 돼지골과 연결됨.
- 명주 - 골(名地谷) [골] 국수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예부터 묘자리가 좋고 물이 좋았다 함.
- 명지 - 골(名地谷) [골] → 명주골
- 명지 - 들[들] 명지골 앞에 있는 들
- 소리 - 골[골] 새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골이 좁고 길다 함.
- 소시랑 - 봉[산] 새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와 산봉우리. 소시랑처럼 생겼음.
- 잿 - 들[들] 새터 남쪽에 있는 들. 동네가 없어지고 들로 변하였음. ‘동산앞들’이라고도 부르고도 있음.
- 탕근 - 봉[산] 노산이골 서쪽에 있는 산. 높이는 422m 산 모형이 탕근처럼 생겼다 함.




- 노면청자혜제중불망비(虜勉淸慈惠濟衆不忘碑)
의관(醫官) 노면청이 빈민의 병을 무료로 고쳐주고 구제한 덕을 기리기 위하여 1931년에 세운 비 - 현감이후윤신청덕선정비 (縣監李侯潤身淸德善政碑)
현감 이윤신의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