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효자각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단지주혈
- 티스토리챌린지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선돌
- 문경새재
- 법주사
- 오블완
- 경주김씨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화양구곡
- 부도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곡산연씨 (3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북이면 용계리에 있는 이 효부각은 1979년에 이호익(李浩益)의 부인 곡산 연씨의 효행을 기리어 전주 이씨 문중에서 세운 정려로서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는 효부문 편액을 걸었다. 그 앞에는 일각문을 세우고 주위에 담장을 둘렀으며, 1974년에 세운 기적비가 있다. 이 효부각은 1979년에 이호익(李浩益)의 처 곡산 연씨(1900~1960)의 효행을 기리어 전주 이씨 문중에서 세운 정려로서 정면 1간, 측면 1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정려의 사면은 홍살로 막고 안에는 효부문 편액을 걸었다. 그 앞에는 일각문을 세우고 주위에 담장을 둘렀으며, 1974년에 세운 기적비(紀蹟碑)가 있다. 이 효부문은 북이면 용계리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연충수(延忠秀) (1545~1621) 자(字)는 성백(誠伯), 본관(本貫)은 곡산(谷山), 곡산(谷山)부원군(府院君) 연사종(延嗣宗) 후손(後孫)이다.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門下)에서 수학(受學)하고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으며 효우(孝友)가 돈독(敦篤)하고 신의(信義)가 두터워 향리(鄕里)에서 칭송(..
도안 명암마을의 유래비이다. 곡산연씨의 세거촌이다 마을 중앙에 오래된 은행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그 자취를 찾을수 없지만 엤날에 마을안쪽 안산에 큰바위가 있었는데 신령한 바위로 통하였다 길가던 노승이 그 바위를 보며 나라에 큰일이 있을때 바위가 울것이라 예..
곡산연씨 목사공파(牧使公派)의 시조인 간(侃)과 그의 장자인 정보(珽寶)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배티에 자리하고 있다
조봉대부(朝奉大夫)는 조선시대 문신 종4품 하계(下階)의 품계명이다.조선이 건국된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문산계가 제정될 때 종4품 상계는 조산대부(朝散大夫), 하계는 조봉대부(朝奉大夫)로 정하여져 그대로『경국대전』에 수록되었다. 종4품에 해당하는 관직으로는 경력·첨정·서윤·부응교·교감·제검·편수관·좌익선·우익선·부호군·군문파총(軍門把摠)·군수·동첨절제사·병마만호·수군만호 등이 있다. →문산계 동몽교관(童蒙敎官)은 조선조 초에 어린이를 교육시키기 위하여 각 군현(郡縣)에 두었던 교관직. 처음에는 동몽훈도(童蒙訓導)라고 불렀다. 대전회통(大典會通)에 의하면 매년 사맹삭(四孟朔), 즉 1, 4, 7, 10월의 4회에 걸쳐 등용 시험을 보았으며 임기는 450일이었다. 고종29년(1892) 증평군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