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효자각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공주박물관
- 경주김씨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선돌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법주사
- 부여박물관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내수읍 비중리 성혈(內秀邑 飛中里 性穴) 본문
내수읍 비중리 일광삼존불 하단에 자리한 바위군락중에 한곳에 있는 성혈이 새겨진 바위이다.
크고 작은 성혈들이 많이 새겨져 있습니다.
성혈(性穴)은 바위그림의 한 종류로 돌의 표면에 파여져 있는 구멍을 말한다. 성혈은 주로 고인돌[支石墓]의 덮개돌[上石]이나 자연 암반에 새겨진다. 형태적 차이는 있지만 민속에서는 알구멍, 알바위, 알터, 알미, 알뫼 등으로도 불린다.
홈구멍이 새겨진 바위는 대체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후대에 계속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조성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보성 동촌리 고인돌처럼 땅속에 묻힌 하부 구조에서 홈구멍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졌음은 분명하다.
청동기시대에는 이러한 홈구멍 바위그림[岩刻畵] 이외에 전라남도 여수시 오림동 고인돌처럼 사람과 돌검이 새겨진 물상바위그림[物像岩刻畵]이나 홈구멍과 함께 새겨진 기하학적 바위그림도 확인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바위그림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선사시대에 있어서 가장 큰 신앙의식은 생존을 위한 기원으로 신변 안전이나 식량 확보를 위한 개체 보존과 종족을 이어가기 위한 종족 보존이 주된 형태였을 것이다. 이러한 기원의 형태는 선사시대에는 여러 가지 방법과 형태로 표출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홈구멍으로 표현된 것으로 생각된다.
홈구멍의 의미에 대해서는 주로 형태적 특징과 제작 방법 그리고 만들어진 곳의 입지를 통해 추론된다. 형태는 주로 원형으로 태양, 여성의 성기, 알, 구멍 등으로 상징되며, 돌 표면을 쪼아서 형태를 잡은 다음 회전 마찰을 통해 다듬었다. 모방주술(imitative magic) 의식을 통해 구멍-여성의 성기-마찰-생산으로 이어지는 기자신앙적(祈子信仰的) 형태와 구멍-알-곡식-생산으로 이어지는 풍요의 형태로 인식된다.
이 모두는 당시 생존을 위하여 가장 큰 기원인 생산이라는 형태로 귀결되는 바, 청동기시대에 활발히 전개되는 농경의 발달은 인구의 증가와 동시에 많은 생산량을 요구하는 것과 관련된다. 홈구멍은 농경사회에서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앙적 의식의 표현으로 생각되는 바, 홈구멍 유적의 입지도 마을의 상징적 경관에 위치함으로써 그 자체가 성스러울 뿐만 아니라 관련된 의례가 성스러운 행위로서 인식하게끔 하는 것이다.
'통합청주시 > 청원구(淸原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수읍 비중리 변영설모현비(內秀邑 飛中里 卞榮卨慕賢碑) (0) | 2016.12.28 |
---|---|
내수읍 비중리 변박묘지(內秀邑 飛中里 卞搏墓地) (0) | 2016.12.27 |
내수읍 비중리 국계사(內秀邑 飛中里 菊溪祠) (0) | 2016.12.20 |
내수읍 비상리 국계서원(內秀邑 飛上里 菊溪書院) (0) | 2016.12.19 |
내수읍 비중리 홍양사(內秀邑 飛中里 鴻陽祠) (0) | 2016.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