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선돌
- 효자문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동 암각자
- 사인암
- 효자각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연천(漣川) (2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장남면 고량포리에 위치한 경순왕릉은 사적 제244호. 지정면적 11,777㎡. 무덤봉분의 지름은 7m, 높이는 약 3m이다. 경순왕의 성은 김씨, 이름은 부(傅)이다. 신라 제46대 문성왕의 6대손이며, 이찬 효종(孝宗)의 아들이다. 927년에 왕이 되어 935년 왕건(王建)에게 나라를 물려줄 때까지 9년간 재위하였으며 978년(경종 3)에 죽었다. 능은 오랫동안 잊혀져오다 조선시대에 찾게 되었다고 하며, 신라의 왕릉 가운데 경주지역을 벗어나 경기도에 있는 유일한 신라왕릉이다. 무덤의 외형은 둥근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 밑둘레에는 판석(板石)을 이용하여 무덤보호를 위해 병풍처럼 돌렸고 능 주위로는 곡장(曲墻)이 돌려져 있다. 능 앞에 혼유석(魂遊石)이 놓여 있고 ‘新羅敬順王之陵(신라경순왕지릉)’이라고 새긴..
연천군 백학면에 처가집을 찾았다가 주위에 있는 경순왕릉을 다시 찾았습니다. 몇번이고 방문한 곳이지만 갈 때마다 느낌이 다릅니다. 이 번에는 찾으니 능 으로의 일반인들의 출입을 막는 목책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능에 계신 분에게 양해를 구하고 경순왕릉 앞에 서있는 장명등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사면에 문양도 잘 살펴보았습니다. 장남면 고량포리에 위치한 경순왕릉은 사적 제244호. 지정면적 11,777㎡. 무덤봉분의 지름은 7m, 높이는 약 3m이다. 경순왕의 성은 김씨, 이름은 부(傅)이다. 신라 제46대 문성왕의 6대손이며, 이찬 효종(孝宗)의 아들이다. 927년에 왕이 되어 935년 왕건(王建)에게 나라를 물려줄 때까지 9년간 재위하였으며 978년(경종 3)에 죽었다. 능은 오랫동안 잊혀져오다 조선시..
연천항일의병비 입니다.심원사지 부도밭 옆의 연천 항일의병비입니다. 을사늑약 체결 이후 800명 남짓한 의병이 깊은곳에 위치한 심원사를 중심으로 항일투쟁을 벌였고, 일제가 이를 알고 공격하면서 절도 모두 불탔다고 한다. 의병 5인 묘소는 신서면 대광리역 동북 방향으로 약 500m에 위치하며, 나지막한 구릉에 서북향으로 조성되어 있다. 1907년 9월 25일 의병 약 800명이 심원사에 집합해 있었다. 이를 탐지한 김화수비대는 이들을 토벌하고자 심원사에 접근하였다. 27일 오전 3시 법화동에서 약 150명의 의병부대는 일본군 토벌대와 격전을 벌여 2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철원으로 귀환하던 일본수비대는 오후 3시 대광리(大光里) 동북방면에서 약 250명의 의병과 충돌하여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순국한..
호로고루(사적 제 467호)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 위에 있는 강안평지성(강가 언덕 위의 평지에 세워진 성)이다. 호로고루는 남한지역에 얼마 되지 않는 고구려 유적으로서 발견 당시부터 주목을 받았다. 이 성은 고구려가 남진을 하기위해 육로로 내려오는 최단 코스로 남진의 교두보 역할을 하였으며, 성을 접해 흐르는 임진강과 주변의 풍광이 어우러져 신성한 면모마저 보이고 있다. 호로고루는 얕은 구릉 위에 축조된 성으로 삼각형 모양을 띠고 있으며 전체 둘레는 401m이다. 성이 위치한 지역은 삼국시대에 북진과 남진을 하기 위해 지나쳐야 하는 곳이었기 때문에 여러 차례에 걸친 삼국의 전투기록이 남아 있다. 발굴조사를 통해 성벽, 목책유구, 지상건물터, 지하식 벽체건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