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화양구곡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경주김씨
- 법주사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국립청주박물관
- 각연사
- 사인암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효자각
- 보성오씨
- 단지주혈
- 충북나그네
- 부여박물관
- 선돌
- 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보령(保寧) (1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많은부분을 민초들에게 내어주고 오늘도 성주사지 한켠을 지키고 있습니다.고려말 조선초사이의 민불로 조성된것으로 추측되며 많은부분이 훼손되어 있습니다충청남도 문화재자료 373호로 지정관리되고 있습니다.
오래전에 다녀온 성주사지...비가 내리던 궂은 날씨였다. 다녀온지는 오래되었는데 게으름에 지금 블로그에 올립니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성주사의 금당에 오르는 돌계단입니다.이 석계단 양쪽에는 돌사자상 조각되어 세워져 있었는데 그 조각 수법이 아주 뛰어났으나 이것은 1986년도 도난당하였고, 2013년 중심사역 정비 시 복원하여 재설치 하였습니다.보령의 시민단체등이 도난된 석사자상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있는데 얼른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길 바랄뿐이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140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성주사는 신라 말 구산선문 중 하나로 한때는 2,000여 명의 승려가 머물며 수도하던 전국 최고의 절로 손꼽히던 곳이다. 백제 때 오합사라는 절로 지어져 신라 말 낭혜화상에 의해 크게 중창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서서히 쇠락해 지금은 절터와 그 위에 남은 몇 가지의 유물들만이 이곳이 절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평지 가람 형태인 성주사에는 중요한 유물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그중에서 낭혜화상부도비가 돋보인다. 이 절을 중창해 크게 일으킨 낭혜는 당시 현실과 유리된 교종을 비판하면서 이론이 아닌 경험 또는 직관에 의하여 선을 깨달을 수 있다는 선종을 내세워 새로운 시대와 사상을 갈망했던 많은 이들을 이곳으로 불러들인 승려이다. 그중에는 우리가 잘 아는 신라 말의 학자인 최치원이 있으니, 최치원이 낭혜화상..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심원계곡로 99(성주리) 성주사지에 있습니다 보물 제 19호로 지정되였습니다.1963년 1월 21일에 지정되었습니다. 높이 6.6m. 석탑은 법당 터로 추정되는 곳에 석등과 함께 나란히 서 있다. 전형적인 신라 석탑에 비해 많이 변형된 모습을 보이지만, 성주사 터에 있는 다른 석조물과 비교할 때 통일신라시대 말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석탑은 2층 받침돌 위에 5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리고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를 놓은 모습이다. 바닥돌인 지대석(地臺石) 위에는 여러 장의 돌로 구성된 하대석(下臺石)을 놓고서, 그 위에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面石)과 함께 모서리 기둥과 가운데 기둥을 새긴 돌을 올렸다. 아래층 받침돌의 덮개돌은 4장의 널돌로 이루어졌으며, 윗면의 경사는 눈에..
성주사터에 남아 있는 4기의 석탑 중 하나이다. 금당터 뒤에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석탑 중 가장 동쪽에 있는 것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 26호로 지정 관리되고있다 탑의 토대가 되는 바닥돌은 4매의 석재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 ·위층 기단은 각각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위층 기단의 맨 윗돌과 탑신의 1층 몸돌사이에는 별도의 돌을 끼웠으며,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다. 각 층의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고 1층 몸돌의 남 ·북면에는 자물쇠모양과 한 쌍의 고리모양을 도드라지게 조각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각 4단이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