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주박물관
- 보성오씨
- 문경새재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사인암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경주김씨
- 오블완
- 화양구곡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법주사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58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약궤는 일반적으로 약재를 보관하기 위해 뚜껑이나 문짝이 달린 직육면체 형태의 나무 상자를 의미합니다. 독극약궤는 독약과 극약을 분리하여 보관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안전을 고려하여 내부에 추가 뚜껑을 설치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상자의 표면에는 '독약', '극약', '극성약품'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독약에는 웅황, 신석, 경분 등이, 극약에는 파두와 부자가, 그리고 극성약품에는 수은 등이 흰색 글씨로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어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독극약궤 - YouTube
왕이 사냥을 나가거나 행차를 할 때 지니고 다니던 휴대용 약상자입니다.붉은나무와 푸른끈으로 장식을 하였으며 그는 음양을 나타내는것으로 생각됩니다.
유허란 유지(遺址) · 유적(遺蹟) · 구기(舊基)와 같이 ‘남긴 터(자취)’ · ‘옛터’의 뜻으로, 여기에서는 선현들이 태어났거나 살았거나 임시 머물렀던 곳, 또는 순절(殉節)하거나 귀양살이하였던 곳을 가리킨다. 고려시대까지는 유허비라는 명칭의 비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는 유허비를 비롯하여 유지비(遺址碑) · 구기비(舊基碑)라는 명칭의 비가 적지 않게 조성된다. 경기도 개성에 ‘고려충신정몽주지려(高麗忠臣鄭夢周之閭)’라는 문구와 입비연대(1530년, 중종 25)만을 간단히 새긴 비는 유허비의 성격을 띤 초기의 예라고 하겠다.충청남도 홍성군 · 논산시의 성삼문유허비, 경상북도 경주시의 김유신유허비, 최치원 독서당(讀書堂)유허비, 신라효자 손순(孫順)유허비, 제주시의 송시열 적려(謫廬)유허비와 서귀포시..
어스름 저녁무렵일찍 때 되면 들어오라던 엄마의 말씀을 잊고친구들과 온동네 휘저으며 놀다 헐레벌떡 집으로 달려가는 순치명 석불. 2024.12.11. 청주순치명석불
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조선17세기경 사찰에서 사용되던 약상자 입니다.소나무 상자의 표면을 삼베로 덮고, 그 위에 촘촘한 바느질로 감싸 안았습니다. 삼베 위에는 종이처럼 매끄러운 두터운 붉은 칠을 했습니다. 이 붉은 칠을 바탕으로 숲, 사람, 건물, 풀 등을 모든 면에 그렸으나, 대담한 묘사로 인해 세부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약상자의 윗면에는 11채의 기와집과 25명 정도의 사람들이 예를 갖추거나 대화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이들의 승려 형상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약상자는 사찰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내부에는 칸막이가 없으며, 놋쇠 자물쇠로 견고함을 더해 실용성을 고려했습니다. 사찰용 약상자
청주 백석정(淸州 白石亭)은 상당산성에서 발원하여 달천으로 흘러가는 감천(甘川) 가에 있다. 남쪽은 청주의 초입에 해당하며 영남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길목이어서 많은 인사들이 머물며 학문을 교류하던 장소이다. ‘백석정’이라는 이름은 정자 앞에 돌출한 흰 바위에서 유래한다. 신교(申灚)[1641~1703]는 일찍이 벼슬을 단념하고 청주 백석정을 세워 여러 문사들과 교유하였다. 신교는 본관이 고령(高靈)으로 관정리 일대는 고령 신씨의 세거지이다. 앞으로 감천이 흐르고 북향하는 자연 지세를 그대로 이용하여 정자를 만들고 멀리 영남으로부터 인근 유림들과 시문을 논하던 곳이다. 2010년 12월 10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8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