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인암
- 경주김씨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선돌
- 곡산연씨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효자각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주덕읍 사락리에 자리한 벽진이씨묘역에 있는 이지웅(1628~1701)의 묘입니다.이지웅은 이련의 아들로 이상급의 손자이기도 합니다. 이상급의 묘역을 바라보며 좌측에 자리하고 있습니다.이지웅의 동생인 이지걸의 묘는 맹동면 쌍정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만부(萬夫). 할아버지는 병조참지 이상급(李尙伋)이며, 아버지는 이연(李堜)이며, 어머니는 의빈부도사 이구준(李耉俊)의 딸입니다.1654년(효종 5) 사마시에 합격하여 선릉참봉(宣陵參奉)이 되고, 그 뒤 선공감봉사·상서원직장을 역임하였습니다. 1677년(숙조 3) 형조전랑을 거쳐 안성군수·김제군수 등을 지낸 뒤 한성부서윤에 이르러 사직하고, 만년에는 학문으로 보냈습니다. 이상급 가계이유번(李有蕃) ㅡ 이석명(李碩明) ㅡ 동몽교관(童蒙..

사락리에 있는 안동인 김발의 묘입니다.김발은 안동김씨의 입향조입니다.김발의 묘를 중심으로 안동김문의 묘지가 몇 기 더 자리하고 있습니다. 사락리 마을 자랑비를 지나 산모퉁이를 돌면 아랫말 서쪽 산등성이에 전주이씨 묘역 이 있고 그 건너에 안동김씨 묘역(安東金氏墓域)이 있다. 묘역 안에는 7기의 묘가 있 는데 이곳이 안동김씨 입향조의 묘역이라고 한다. 위쪽에 있는 2기의 묘에는 상석, 망주석(望柱石, 촛대석), 석인(石人, 文人石)이 갖추어져 있고 아래쪽 4기의 묘에는 상석과 망주석만 있는데 가운데에 김발의 묘에는 상석, 망주석, 석인상, 묘비가 갖추어져 있다. 묘비는 사각형 화강암 비좌, 대리석 비신, 화강암 지붕돌인데 비신(碑身)에는 “증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 행어모장군 행충좌위 부사과..
참 가슴이 아린(?)곳이다어린시절 소풍을 간다하면 탄금대나 호암지 두곳중 한군데였으니탄금대라는 지명과 장소는 어린나의 가슴속에 참 이쁘게 각인되여 있었다소풍가는날이면 옆으로 비껴서 프라스틱 물통을 차고호주머니속에서 달랑거리며 소리내는 십원짜리 동전 몇개에 행복이 있었다점심시간 엄마가 싸오신 김밥아닌 맨밥을 먹으면서도 참 좋았다는 생각이 들었다호주머니속에 십원짜리 몇깨는 방개를 이용한 뽑기나 아니면 발굴려 만드는 솜사탕에 빼앗기고소풍이 끝나고 돌아올때는 보물찾기에서 얻은 연필 몇자루가 손에 쥐여 있었다 지금은 참 많이 바뀌였다먼지 풀풀나리던 신작로를 따라 걷던 소풍길은예쁘게 잘 단장이 되여 있고연꽃이 참이뻤던 옷갓도 시민들을 위한 휴식공간과 운동장으로 바뀌였고현대화된 탄금대에는 많은 조형물들과 더불어충..

비 내리는 미륵사지를 찾아 보았습니다.미륵부처의 점안식 행사로 바쁜데 비가 내리네요.다시 태어나실 미륵부처님 모습을 몇 장 담아 보았습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지역에는 수주리, 월은리, 문박리, 팔봉리가 있었다. 이 중 문박과 수주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문주리 (文周里)라는 명칭이 처음 만들어졌다. 문주리에 대한 기록은 1760년에 발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처음 나온다. 당시 유등면은 주음성리, 산정리, 팔봉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팔봉리가 현재의 문주리이다. 1898년에 나온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현재 문주리의 행정리를 이루는 팔봉, 수주, 월은이 나온다. 1912년에 나온 『구한국 지방행정구역 명칭일람』에 보면 팔봉, 수주, 문박, 월은이 나온다. 1914년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이들 네 개 마을이 합쳐져 문주리가 처음 생겨났다. 그리고 유등면이 이안면과 합쳐지면서 문주리가 이류면[현 대소원면]에..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매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유등면장을 지낸 이순교의 송덕을 기리는 비입니다.1914년 충주군의 유등면과 이안면이 통합되어 이류면이 되기 직전인 1913년 유등면장을 역임하면서 면민을 편안케 하고구휼한 이순교(李淳敎)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장승백이 삼거리에 건립하였다가 1992년 7월에 매산경로당이 건립되면서 송덕비를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국도 3호선을 따라 달천대교를 건너 좌회전을 한 후 지방도 525호선을 이용하여 매현초등학교 앞까지 직진하면,매산경로당이 보이고 매산마을 자랑비가 서있는데 그 옆에 이순교 송덕비가 자리하고 있다.비좌직수의 형태로 화강암 비신은 34.5×15×106㎝의 크기이고, 대좌는 시멘트로 만들었는데, 크기는 74.5×50×23㎝이다. 대좌는 약 10㎝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