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효자각
- 밀양박씨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선돌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충주박물관
- 효자문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부도
- 경주김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법주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1(咸陽 德田里 磨崖如來立像) 본문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높이 5.8m의 마애불. 보물.
보물 제375호. 고려시대에 다수 제작된 거불(巨佛) 조각의 하나로 광배·불신·대좌를 고루 갖추고 있다. 광배는 주형 거신광(舟形擧身光)으로 두광과 신광(身光)이 두 줄의 양각선으로 조각되었다. 그 안에는 연주문(連珠文)이, 밖에는 불꽃무늬가 돌려져 있다.불상의 전체 크기에 비해서 머리 부분의 나발(螺髮)이며 육계(肉髻)가 작다. 하지만 얼굴은 강건하면서도 원만하고 온화한 느낌을 준다. 특히, 코 주위와 꼭 다문 입가의 표현은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보물 제377호)과 닮았다.넓고 당당하게 벌어진 양어깨에는 통견식(通肩式)의 불의(佛衣)를 걸쳤는데 가슴에서 한 번 반전되었다. 이와 같은 착의법은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 통일신라 조각에 유입된 양식이다.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을 비롯한 8세기 불상에서 성행하였다. 특히, 배와 다리 부분에서 접힌 옷주름은 이른바 우다야나왕식(Udayana王式)이라고 불리는 Y자형 옷주름이다.윗단의 끝이 뾰죽한 점이나 도드라진 무릎 주름 등이 앞에서 말한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 마애불은 인접한 지역의 통일신라 말기의 불상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발은 두툼하고 커다란 데 비하여 손은 비례에 맞지 않게 작아서 어색하다. 이것은 부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계획상의 착오가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대좌는 앙련좌(仰蓮座)와 그것을 받치는 하대로 구분된다. 하대에는 우주(隅柱)주 01)와 탱주(撑柱)주 02)가 새겨져 있다. 대체로 통일신라의 전통 양식을 따른 작품으로서 고려 초기인 10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咸陽德田里磨崖如來立像))]
'전국방방곡곡 > 함양(咸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2(咸陽 德田里 磨崖如來立像) (0) | 2020.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