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사인암
- 효자문
- 부도
- 부여박물관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각연사
- 선돌
- 효자각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곡산연씨
- 현충시설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여흥민씨
- 영모재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경주김씨
- 법주사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서산(瑞山) (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코, 미소를 띤 입 등을 표현하였는데, 전체 얼굴 윤곽이 둥글고 풍만하여 백제 불상 특유의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두꺼워 몸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으며, 앞면에 U자형 주름이 반복되어 있다. 둥근 머리광배 중심에는 연꽃을 새기고, 그 둘레에는 불꽃무늬를 새겼다. 머리에 관(冠)을 쓰고 있는 오른쪽의 보살입상은 얼굴에 본존과 같이 살..

서산 보원사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통일신라시대의 유물로 1963년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팔각형·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 형식을 보인다.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각 면에도 조각한 흔적이 없으며, 밑바닥면은 평평하고 한쪽에 약 8㎝정도의 원형 배수구가 있을 뿐이다. 안쪽과 윗쪽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에는 거친 다듬자국이 그냥 남아 있어 땅에 묻어두고 사용했는지도 알수 없다. 조각..

1매의 화강암 석재를 이용해서 조각하였는데, 높이 216㎝, 어깨 폭 65㎝, 두께 25㎝의 크기. 이마 쪽이 넓고 턱 쪽이 좁은 역사다리꼴의 얼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상호의 이목구비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는데, 눈의 경우 거의 감은 것처럼 조각해 놓아 전체적으로 온화한 미소는 찾아보기 힘들다. 목에는 삼도를 표현한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형태는 남아 있지 않다. 법의 양식은 오른쪽 어깨가 드러나 있는 우견편단의 형상이며, 오른팔은 위로 올려 가슴에 붙이고 왼팔은 구부려 배 부위에 오도록 조각하였다. 의습(衣褶)도 표현되어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잘 나타나지 않으며, 상반신의 일부는 깨어져 덧붙여 세웠다. 발은 본체에서 떨어져 돌들 사이에 있는 상태로 복원이 필요하..
tjtksaus qhdnjstkwl 보원사(普願寺)터 서쪽의 금당터 앞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보원사는 백제 때의 절로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마애삼존불상이 발견되면서 학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절터에는 이 탑 외에도 법인국사보승탑(法印國師寶乘塔)과 탑비 당간지주 석조 등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의 규모가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기단 옆면에는 사자상을 새기고 윗기단 옆면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을 2구씩 새겼다. 8부중상은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에 걸쳐 석탑의 기단에 많이 나타난다. 탑신에서는 1층 몸돌 각 면에 문짝 모양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얇고..
보원사지를 발굴하면서 나온 각종 초석과 치석재들을 한 곳에 모아 놓았습니다. 보원사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사적이다. 지정면적 102,886㎡. 사적 제316호. 상왕산(象王山, 307.1m) 서남쪽 계곡의 보원마을에 있었으나, 1970년대 일대의 대대적 목장경영으로 인하여 마을주민은 다른 곳으로 이주하고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다. 절터에는 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조(石槽, 보물 제102호)를 비롯하여 당간지주(보물 제103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법인국사보승탑(法印國師寶乘塔, 보물 제105호)·법인국사보승탑비(보물 제106호) 등의 유물과 초석이 남아 있다. 특히 1968년 절터에서 백제시대의 금동여래입상(높이 9.5㎝)과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
보물 제105호. 높이 4.7m. 고려시대 고승인 법인국사 탄문(坦文, 900∼975)의 유골을 모신 승탑으로, 탄문이 입적한 975년(광종 26)과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보물 제106호)가 건립된 978년(경종 3) 사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탑비와 함께 부도전(浮屠殿)에 자리하고 있다. 승탑은 바닥돌부터 지붕돌까지의 단면이 8각으로, 신라 승탑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원당형(圓堂形)을 따르고 있다. 바닥돌은 4장의 널돌로 이루어졌는데, 윗면은 별다른 시설이 없이 아래받침돌을 받치고 있다. 아래받침돌은 윗단과 아랫단으로 구성되었다. 아랫단은 옆면의 각 면마다 1구씩의 안상(眼象)이 조각되었는데, 안상 안에는 각각 모습을 달리한 사자상(獅子像)이 1구씩 돋을새김되어 있다. 윗단의 윗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