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산성 선정비
- 문의문화재단지
- 선돌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효자각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사인암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각연사
- 효자문
- 부도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흥덕구(興德區) (15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옥산면 호죽리 길가에 위치하고 있는 순천박씨강동종중 추모원입니다.통훈대부를 지낸 박세병의 무덤 등 순천박씨 종중의 무덤을 조성하여 놓았습니다.

호죽리(虎竹里)는 ‘범때’ 또는 ‘호죽’이라 하였다. 지역이 매우 넓어서 ‘열두 범때’라고 하기도 한다. 옛날에 대나무가 많고 호랑이가 살았다고 한다. 그래서 ‘범’과 ‘대’를 붙여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산골 마을이라 주변 평야 지대에 비하여 높은 편이며, ‘대’는 대[竹]가 아닌 대(臺)로 보아, ‘평탄하면서 주위보다 한 단 높은 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범대는 ’범이 다니던 주위보다 높은 곳’을 뜻한다.호죽리 안쪽으로 들어가면 상모단 못미쳐 동래정씨문중의 묘소들이 자리한 묘역이 있습니다.묘역 뒷쪽으로 상모단과 함께 조선조의 문신인 정이한의 단비와 정이한의 고조인 정이지의 단비가 자리하고 있는 단비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정이한(鄭而漢, ?∼1453)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41..

강상촌에 위치한 천곡 송상헌의 유적지는 많이 가보았지만 조금 옆에 있는 무덤은 지나는길에 바라보며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오랫만에 시간내어 무덤을 찾아보았다. 여산송씨들의 재실이 보인다. 재실 옆으로는 천곡선생의 사적비가 서있다. 수의동은 흥덕구 서남단에 있는 법정동으로 남북으로 긴 편이며, 총 면적은 3.72㎢이다. 주요문화재로는 천곡송상현유물(시도유형문화재 ), 동래부사송상현충렬사(시도기념물 ), 송상현묘소 및 신도비(시도기념물 )를 비롯하여 비지정문화재인 박우현묘소가 있으며, 자연마을은 가마골(부동), 강촌(강상리·강상촌), 도감(도가미), 도장골, 살고개(쌀고개), 새고개, 수절(숫절), 유성지(유성기), 정상(샴위), 헛가마골이 있다. 수의동 충열사둘러보기 (tistory.com) 수의동 충열..

강상촌( 綱常村)이라는 마을의 이정표가 눈에 들어온다. 삼강오상(三綱五常)의 정문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강상촌( 綱常村)’이라 줄여 부른다고 하는 말이 전하니 충신과 더불어 열녀와 효부의 산실인 듯 하다 강상촌은 대대로 여산 송씨들의 집성촌이다. 마을 입구에는 충렬공(忠烈公)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1551~1592]을 모신 충렬사(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7호)와 송상현 신도비,송상헌충렬각, 보호수, 밀양박씨(密陽朴氏)효열각, 연일정씨 효부각 등이 있다. 마을입구에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과 그의 두 소실이었던 한금섬과 이소사(李召史)의 정절을 함께 기려 세운 정려문이 있다. 송상현은 1591년에 집의(執義)로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승진되고 동래부사(東萊府使)에 임명되었다. 왜구의 ..

청주시 신전동에 위치하고 있는 경주김씨우후공파 봉안당입니다. 봉안당 앞으로는 경주김씨판도판서공9세손우후공파봉안당건립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청주시 흥덕구 신전동에 있는 경주김씨의 사당인 우후사입니다. 근간에 세워진 사당으로 경주김씨판도판서공파(慶州金氏版圖判書公派)의 사당입니다. 숭례문(崇禮門)이라는 현판이 걸린 삼문과 함께 우후사( 虞候祠)라는 현판이 걸린 사당이 있습니다. 옆으로는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 봉안당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우후사앞에는 경주김씨판도판서공파구세손가항파추모비(慶州金氏版圖判書公派九世孫可恒派追募碑)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김가항은 통훈대부로 전행김제군수를 지낸 김천부의 아들입니다. 보은읍 종곡리 김천부신도비(報恩邑 鍾谷里 金天富神道碑) (daum.net) 보은읍 종곡리 김천부신도비(報恩邑 鍾谷里 金天富神道碑) 보은읍 종곡리 마을초입에 자리한 조선 명종 때의 학자 성운(成運)·김천부(金天富)의 신도비이다 김천부가 을사사화를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