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문경새재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효자문
- 보성오씨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효자각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사인암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선돌
- 충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목록전국방방곡곡/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2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대전시 동구 찬샘마을에 있는 김임순여사 송덕비입니다.김임순여사송덕비( 金任順女史頌德碑)라고 적혀 있으며 비석의 후면에는 김임순여사의 송덕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김임순 여사는 젊은시절의 혼자 되어 한밭대학교 초대총장을 지낸 강용식을 잘 키워 국가의 동량으로 키웠으며 마을을 위하여 물질적인 헌신을 많이 하였다. 동구 직동 강용식송덕비(東區 直洞 姜容植頌德碑) 동구 직동 강용식송덕비(東區 直洞 姜容植頌德碑)대전시 동구 찬샘마을 마을회관 화단에 자리하고 있는 이 곳 출신 국립한밭대학교초대총장을 지낸 강용식선생의 송덕비입니다. 강용식 선생은 이 곳 출신으로 마을의 지역발전을 위해 많은 노king6113.tistory.com

대전시 동구 직동 찬샘마을 마을회관얖에 자리하고 있는 기념비입니다.이 곳에 거주 하시는 분들중에 100세가 넘으신 어르신들의 장수를 기념하기 위하여 마을 회관 앞에 세운 장수기념비입니다. 마을주민들의 이름으로 매년 어버이날을 맞이하여 100세가 넘으신 어르신들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를 세우고 있습니다.현재는 세분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류귀형,유수,유신신 할머니의 탄신 100주년 기념비가 세워져 있습니다.어른들을 위하는 마을주민들의 마음이 비석이 되어 동네를 지키고 있습니다.

대전시 동구 찬샘마을 마을회관 화단에 자리하고 있는 이 곳 출신 국립한밭대학교초대총장을 지낸 강용식선생의 송덕비입니다. 강용식 선생은 이 곳 출신으로 마을의 지역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그리고 어머니인 김임순여사에 대한 효를 다한 강용식선생의 송덕을 기리기 위해 마을주민들의 이름으로 송덕비를 세웠습니다.

이 탑제는 장동 산디마을 입구에 있는 2기의 돌탑에 매년 음력 정월 14일 밤에 지내는 마을 공동제의이다. 산디마을은 대전의 동쪽에 위치한 계족산과 계족산성 아래 깊숙한 곳에 아늑하게 자리한 산촌이다.밖에서 마을로 들어가다 보면 마을 어귀를 향해 흐르는 개울 주변에 숲이 우거져 있고, 이 숲 속 좌우에 쌍탑이 있어 할아버지탑과 할머니탑으로 불린다. 2기 모두 자연석으로 다소 거칠게 쌓았으며, 동쪽에 있는 할아버지탑은 높이가 약 2.3m 정도이고, 서쪽으로 30m쯤 떨어져 있는 할머니탑의 높이는 약 1.8m이다. 전체적으로 할아버지탑이 더 크고 안정감이 있으며 할머니탑은 이보다 작고 허술한 편이다. 탑제는 1998년 7월 21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전승되고 있다.장동산디마을탑제의 정확한..

대전 대덕구 장동 마을길가에 위치하고 있는 이장을 지내며 동네의 발전과 함께 화목한 동네를 일군 전이장 조기석의 공적을 잊지않기 위하여 동네주민들에 의해 세워진 조기석 공적비입니다.비석전면에는 이장창산조기석공적비(里長蒼山曺起錫功績碑)라고 적혀 있으며 좌,우,후면에는 조기석의 공적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