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충주박물관
- 부도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법주사
- 상당산성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영모재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현충시설
- 부여박물관
- 화양구곡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선돌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여흥민씨
- 효자문
- 각연사
- 밀양박씨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영동군(永同郡) (11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황간향교 전교를 지낸 유광연의 공적비입니다. 청운서산유광연공적비(淸雲瑞山柳光淵功績碑)라고 적혀있습니다 황간향교 유림일동이 단기4323년 2월에 세웠습니다.뒷면에는 유광연의 공적사항이 적혀있습니다.

1394년(태조 3)에 하첨(河詹)이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황학루(黃鶴樓)를 세우고, 현(縣)의 뒷산에 창건하였다. 그 후 1666년(현종 7)에 토성(土城) 안으로 이건하였고, 1752년, 1755년, 1901년에 각각 중수하였으며, 1872년(고종 9)에는 명륜당을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5칸의 명륜당, 고직사(庫直舍) 등이 있다. 초석이 연화문(蓮花文)으로 조각된 것으로 보아, 사원건축양식과 정자·주택 건축양식이 절충된 것으로 보인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충북 영동군 황간면 남성리 140번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황간면은 충청북도 영동군 동북부에 있는 면. 태백산맥의 지맥인 백화산맥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200~500m의 험준한 산지를 이루고 있고, 곳곳에 포성봉(933m)·주행봉(870m)·봉대산(654m) 등이 솟아 있다. 면의 남동쪽에서 흘러든 초강이 원촌리 일대에서 석천을 합류하여 북서쪽으로 흐른다. 이들 연안에 약간의 경지가 분포할 뿐 평야의 발달은 미약하다. 감·복숭아·사과 등 과수 재배가 활발하다. 월촌리에는 금·은 등이 산출되었던 폐금속광산인 월류광산이 있다. 문화재로는 남성리 가학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와 황간향교(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0호)가 있다. 원촌리의 월류봉..
영동군 영동읍 심원리 예전 대금동에 위치하고 있다. 대금동 냇가 언덕위에 암반위에 2층 시멘트환주8각와즙 삿갓지붕인 정자이다.청운대(靑雲臺)라고 이름이 적혀있다. 예전은 근처의 들이 넓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마을은 심원리에 속하는 자연마을이다. 심원리는 천지봉 아래 자..
양산면 봉곡리에 있는 강선대(降仙臺)입니다. 노송과 어우러진 정자와 더불어 밑으로 흐르는 금강의 조화는 많은 사람들의 발길을 머물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강선대(降仙臺)는 봉곡리 강가에 있다. 바위절벽이 솟아올라 높직한 대를 이룬 곳에 노송 몇 그루가 서 있다. 꼭대기의 정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