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의문화재단지
- 현충시설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부여박물관
- 영모재
- 법주사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외사리 당간지주
- 곡산연씨
- 단지주혈
- 각연사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부도
- 국립청주박물관
- 사인암
- 공산성 선정비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여흥민씨
- 선돌
- Today
- 43
- Total
- 520,404
목록충북의 바람소리 (290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연풍면 행촌리에 있는 연풍직행정류소 건물입니다. 행촌리 초입에 있습니다. 잊혀져 가는 풍경중에 하나입니다. 나무로 만든 문을 열고 들어서면 벽에 버스 시간표가 있고 작은 매표소에서 표를 끊고 버스를 기다리곤 했지요. 요즈음 같은 마이카시대에는 상상도 할수 없는 아득한 풍경입니다

마로면 관기리에 있는 고봉정사 입니다. 조선 중종 때 최수성(崔壽峸)·김정(金淨)·구수복(具壽福) 등이 함께 창건하고 강학(講學)을 행하였으며, 구일봉(具壹奉)이 지금 자리로 옮겼습니다. 1981년 충청북도기념물로 지정되면서 정사를 해체하여 보수하고, 고봉사(孤峯祠)·관리사(管理舍)·창고·삼문 등 담장을 새로 지었다. 구씨종중(具氏宗中)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송시열(宋時烈)이 쓴 고봉정사의 현판이 있었으나, 현재 걸려 있는 현판은 최규하(崔圭夏)가 쓴 휘호입니다. 관기리 시내에 있던 완산이씨 열녀각도 고봉정사 옆으로 이건하였습니다.

이 충신각은 조선 선조 때 의병으로 활동하다 순직한 윤여익(尹汝翼 ; 1548~1592)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윤여익은 중봉 조헌선생의 문인으로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스승을 따라 의병에 참가하여 청주성 탈환에 공을 세웠고 금산싸움에서 순국하였다. 1883년(고종 20) 선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충신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정면 2.3m, 측면 2.0m)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서 지붕부재는 최초 건립당시 부재를 사용하였으나, 하방석 및 주초는 이설한 뒤 건물을 높이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재질로 시공하였다. 내부에는 ‘忠臣旌閭 忠臣將仕郞坡平尹汝翼之閭 光緖 九年 癸未 八月 十九日 啓’’라는 현판과 행장을 기록한 현판이 걸려있다. 1883년 (고종 20년)에 정려가 하사되었으며 조중봉 ..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순창인 조용하와 그의 부인인 평택임씨의 쌍정려입니다.조용하(趙用夏)는 본관이 순창이고 자는 윤집이며 문정공 염의 후손이다. 이 정문은 단칸 맛배지붕목조기와집이다.조용하와 처 임씨열녀의 효행 행적을 보면 조용하는 아버지가 병환으로 자리보전을 하자 단지주혈로서 효력을 보았고, 그의 부인인 평택임씨는 남편인 조용하의 병이 위중하자 평택임씨 또한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병을 고치게 하였다. 이런 효행이 알려지자 효행과 효열로 상지25년(고종25년 서기1888년)지평(持平) 벼슬을 증직하고 그의 부인과 함께 효자·열녀의 쌍정문이 하사되었다.단청등이 바래있으며 관리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할것 같습니다. 孝子 贈通訓大夫 司憲府持平 趙用夏之門 효자 증통훈대부 사헌부지평 조용하지문 烈女 贈淑..

연풍면 행촌리 마을 중앙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좁은 도로에 홍살문이 서있고 옆에는 하마비와 함께 충효당이라 하여 예절교육을 가르키는 건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충효당이라 하여 나라에 대한 충성과 부모와 어른들을 향한 효를 가르키는 공간입니다. 충효당으로 들어가는 대문의 문짝이 고장이 났는지 떨어져 있네요. 지자체에서 확실한 보수나 관리등을 해야 할것 같습니다. 방문하는 날은 외삼문의 문이 열려있습니다. 외삼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마주하는건물이 명륜당입니다. 명륜당에서 명륜(明倫)’이란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으로, 『맹자』 등문공편(滕文公篇)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함은 모두 인륜을 밝히는 것이다.”라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성균관의 유생들이 이곳에서 글을 배우고 익혔으며, 또한 왕이 직접 유..

보고있어도 보고싶다는 노래가사처럼... 언제나 보아도 질리지가 않는다.소이면 탑산골 후미리 석탑은 오늘도 세월을 깁고서 오는 손님 반겨준다. 소이면 후미리 석탑(蘇伊面 厚美里 石塔) (tistory.com) 소이면 후미리 석탑(蘇伊面 厚美里 石塔) 지명도 참 이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탑상골" 조금은 외떨어진 산골짜기 , 무덤가 한켠에서 외롭게 세월을 깁고 있습니다. 밑에 자리했던 복숭아 과수원은 고목을 모두 베어내고 새로 묘목을 king6113.tistory.com 후미리 석탑 - 디지털음성문화대전 (grandculture.net) 후미리 석탑 - 디지털음성문화대전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 [개설] 석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일반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