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돌
- 효자각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문경새재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부도
- 사인암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증평군(曾坪郡) (17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신경행청난공신교서및관련문적 신경행청난공신교서및관련문적1604년 문신 신경행을 청난공신 3등에 책록한 교서. 종가유물. [개설] 선조가 신경행에게 내린 청난공신교서 1점과, 신경행을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임명하면서 밀부(密符)를 내린 유서 1점, 사헌부terms.naver.com 증평 향토자료관에 전시되어 있는 신경행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문적입니다.책의 상태등으로 보아 모조품을 전시한듯 합니다. 증평읍 남차리 신경행 신도비(曾坪邑 南次里 辛景行 神道碑) 증평읍 남차리 신경행 신도비(曾坪邑 南次里 辛景行 神道碑)신경행(辛景行) 1547(명종 2년)~1623(광해군 15) 자(字)는 백도(伯道), 호(號)는 조음(釣陰), 시호(諡號)는 충익(忠翼)이다. 본관은 영산(靈山)이다. 신경행(辛景行 1547~162..

모처럼 오랫만에 아내와 함께 증평 남하리에 위치한 증평 민속체험 박물관을 찾아 보았습니다.좌구산 아래 위치한 삼기저수지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둘레길을 걷고 분위기 좋은 찻집에서 오랫만에 둘이 차도 한잔 마시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가까운 민속체험박물관을 둘러 보았습니다. 저도 향토전시관에 있는 탑을 보기 위해 들렸었지만 다른 유물들은 자세히 살펴보지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자세히 살펴 보았답니다.그 중에서 백암리호적대장도 하나에 속합니다. 겉 표지에는 충청북도청안군북면백암리계좌목( 忠淸北道淸安郡北面白巖里契座目)이라고 적혀있고 북면 백암리 호적( 北面白巖里 戶籍)이라고 적혀 있으며 나머지 면에 상세기록이 기술되어 있습니다.노암리 이장댁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합니다. 백암리 호적대장은 현재 증평향토자료..

율리 김득신 묘에서 바라보는 율리의 풍경이 평화롭습니다. 아버지 김치의 묘와 김득신의 묘 그리고 김득신의 아들의 묘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증평읍 율리 김 치 신도비(曾坪邑 栗里 金 緻 神道碑) 증평읍 율리 김 치 신도비(曾坪邑 栗里 金 緻 神道碑)증평읍 율리에 있는 안동인 김 치의 신도비이다. 김 치는 1577(선조 10)∼1625(인조 3).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정(士精), 호는 남봉(南峰)·심곡(深谷). 석(錫)의 증손으로,king6113.tistory.com 안흥군(安興君) 남봉(南峰) 김치(金緻 : 1577∼1625)의 묘갈은 현종 15년(1674) 증평읍 율리(曾坪邑 栗里)에 있는 그의 묘소 앞에 세웠는데,비문(碑文)은 아들인 백곡(栢谷) 김득신(金得..

증평읍 율리에 있는 삼기저수지입니다.삼기저수지 주위로 지자체에서 둘레길인 등잔길을 만들어 놓았습니다.등잔길 주위로 독서광이였던 김득신의 모형과 더불어 김득신이 지은 한시등을 적어 놓은 비석들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증평군 지역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교통로상의 중요 거점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불상들은 주로 교통로상의 한 구석에 분포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지역에 분포하는 석조보살입상(石彫菩薩立像)들은 고려 초기에 충청지역에서 미륵사상과 함께 유행하는 거불계통(巨佛系統)의 불상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충청북도 지역의 거불들은 대개가 라말려초(羅末麗初)에 각 지방에서 득세했던 호족(豪族)들과 관련되어 조성되었던 것들로 충주의 미륵리사지의 석불입상을 비롯한 지금의 5번 국도를 따라 연결되는 석불입상이나, 청주 용화사의 석조보살입상을 들 수 있다. 증평군의 불적(佛蹟)들은 광덕리불상,남하리사지 불상,미암리사지 불상등 거불계통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율리 석조관음보살입상(栗里 石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