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선돌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오블완
- 부여박물관
- 부도
- 문경새재
- 사인암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밀양박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법주사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효자문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효자각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화양동 암각자 (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천면 화양동 금사담가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곽용종郭瑢種의 이름각자입니다. 곽용종에 대하여는 자세한 사항은 알수 없습니다. 다른글씨에 비하여 글씨의 크기도 작고 각선이 깊지 않습니다.자세히 보아야 알수 있습니다.

금사담옆에 암석에 새겨진 일제강점기 관찰사를 지낸 권봉수의 이름각자입니다. 관찰사권봉수와 같이 방문했던 원대규의 이름을 같이 각자 하였습니다. 관찰사권봉수원대규觀察使權鳳洙.元大圭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권봉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권봉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ko.wikipedia.org 원대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원대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ko.wikipedia.org 옆으로는 정택조 鄭宅祚 김 애 金 愛 윤상동 尹象東 송지현宋持鉉등의 이름도 각자 되어 있습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

조병로는 충주목사 및 청주목사를 지낸 사람으로 본관은 양주입니다. 1873년 청주목사로 이 곳 만동묘를 수축하였습니다. 다른 이름의 비해 작게 각자하였습니다.만동묘를 수축하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가 이름을 각자하였습니다. 조병로 - 디지털충주문화대전 (grandculture.net) 조병로 - 디지털충주문화대전 [정의] 조선 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가계]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유원(孺元), 아버지는 임파현령 조이순(趙頤淳)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김상휴(金相休)의 딸 광주김씨(廣州金氏)이다. chungju.grandculture.net

청천면 화양동 암서재 밑에 금사담가에 있는 암석에 각자되어 있는 이름입니다. 이우춘 이인우李又春 李寅禹라고 각자되어 있는 이름입니다.상기자들에 대하여는 자세한 내력을 알수가 없습니다.

충청북도와 관련된 이희복이라는 인물을 찾다보니 고종39년(1902년)에 청주군수로 있던 이희복을 찾을수 있었습니다. 당시 청주군수였던 이희복이 이곳 화양동을 찾았다가 각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청주군수로 있던 이희복과 고종의 비였던 엄씨 그리고 청주 무심천가의 절 용화사의 칠불과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엄비와 당시 청주군수였던 이희복의 꿈에 석불들이 나타나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니 청주군수였던 이희복이 나라에서 재물을 받아 지금의 용화사를 창건하고 칠불을 모시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용화사 - 디지털청주문화대전 (grandculture.net) 용화사 - 디지털청주문화대전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무심천(無心川) 변에 있는 평지 사찰. [설립경위] 상량문에 따르면 고..

화양구곡의 제 4곡인 금사담옆에 자리한 암서재 뒷편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여산인 송주헌宋柱憲의 이름각자입니다. 송주헌 자 정섭(宋柱憲 子 貞燮)이라고 각자 되어 있습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04-19『三乎齋集』(국립중앙도서관[古3648-39-63]) [行狀]을 참고하여 생졸년, 출신지, 가계 정보를 추가함.[수정자: 이재옥] people.aks.ac.kr 암벽에는 이름이 정섭 貞燮 으로 되어 있지만 한국역대인물종합시스템에는 정섭 廷燮 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2년(철종 3)~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