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외사리 당간지주
- 부여박물관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현충시설
- 청풍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효자문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청주박물관
- 부도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영모재
- 사인암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여흥민씨
- Today
- 155
- Total
- 522,267
목록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85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가덕면 행정리에 위치하고 있는 지하여장군이라는 이름을 가진 장승입니다. 천하대장군이라 쓰여진 장승과 함께 마주보고 있습니다. 행정리의 지명유래가 되는 은행나무 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행정마을 마을끝에 위치하고 있는 은행나무아래 자리잡고 있는 돌장승입니다. 천하대장군이라는 명칭이 가슴을 중심으로 세로로 각인되어 있습니다. 아직도 마을주민들의 관심을 먹고 있습니다. 관모를 쓴듯한 문인석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가덕면에 위치한 행정리는 본래 문의군 동면 지역으로서 수령이 약 칠백여년 된 은행나무가 있었으므로 은행정 또는 행정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행정리라 해서 가덕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 행정 : 행정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 한말 (한촌) : 행정 동쪽에 있는 마을. 행정초등학교와 보건진료소가 있다. 띠골 : 한말 북쪽에 있는 마을. 산직촌 : 행정 동남쪽에 있는 마을. 기타지명 古里谷(고리옴) : 坪上臺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 娘城山城 : 태미 마을 뒤에 있..

미원면 가양리 이공린묘소(米院面 佳陽里 李公麟 墓所) (tistory.com) 미원면 가양리 이공린묘소(米院面 佳陽里 李公麟 墓所) 미원면 가양리 수락동에 자리하고 있는 경주인 이공린의 묘입니다. 부인인 순천박씨의 묘와 나란히 자리하고 있습니다. 무덤밑으로는 첬째 아들인 이오의 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구비(舊碑)와 king6113.tistory.com 미원면 가양리 수락영당에 있는 비석입니다. 경주이씨 가문에서 배출한 효자 또는 열녀들의 비석입니다. 북이면 석화리 열녀안정나씨정려비(北二面 石花里 烈女安定羅氏旌閭碑) (tistory.com) 북이면 석화리 열녀안정나씨정려비(北二面 石花里 烈女安定羅氏旌閭碑) 석화리(돌꼬지, 석화)는 본래 청주군 산외이면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돌로 꽂이를 이루었으므로 돌꽂이 또..

미원면 금관리 박돈화선생유허비(米院面 錦寬里 朴墩和先生遺墟碑) (tistory.com) 미원면 금관리 박돈화선생유허비(米院面 錦寬里 朴墩和先生遺墟碑) 미원면 금관리에 있는 박돈화의 유허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함양박공돈화선생유허비( 咸陽朴公墩和先生遺墟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의 좌우후면에는 국한문혼용으로 박돈화의 행적을 적 king6113.tistory.com 금관숲이 자리하고 있는 금관리는 함양박씨의 집성촌이다. 금관리는 산내이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개동(介洞), 금선리(錦鮮里), 가목정리와 풍호리, 방지리, 관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금선과 관동의 이름을 따서 금관리라 해서 미원면에 편입됨. 자연부락으로 가마골, 웃지풍골, 갯골, 점말, 물레동, 지풍골이 있으며 현재는 금관1,..

지난 삼월 어느 날 청주 김진동문우가 나에게 말하기를 송곡선생께서는 일찌기 몽매 무지한 우리를 배움의 길을 열어 주시느라 아까운 청춘을 불살으시고 끝내 세상 영욕을 떠나친 채 청적담박하게 한평생을 바치셨으니 그 근고하신 은덕을 무엇으로 형언할수 있으랴. 일전에 이상필 한일석 이원훈 같은 몇 몇 뜻있는 문우들이 분기발의하여 사은비를 세우기로 통문을 돌리니 수십여 문우가 열화같이 동참하여 자금을 모아 힘차게 이 일을 추진하는 중 여러 문우의 엄숙한 명으로 비문을 위촉하니 수락하기 바란다. 아 나의 천박한 식견으로 어찌 이를 감당하리오 또한 문도의 후진으로서 굳이 사양할 수가 없어 대략 아래와 같이 서술해 명을 지었으니 "어두운 밤 횃불되어 길 잃은이 인도하고 적막강산 종을 울려 많은사람 일깨우니 애향하신 그..

청원군 문의면 노현리 마을입구에 있는 제주인 고창석의 공적비이다. 비석을 바라보며 좌측에 있는 비로서 비의 건립시기는 1995년 8월 13일이다. 비의 전면에는 제주고공창석공적비(濟州高公昶錫功績碑)라고 음각되여 있으며 비의 후면에는 고창석의 활동내역등이 적혀있다. 일제강점기시절 문맹을 퇴치하고 민족의식의 고취등을 위해 힘쓴 교육가 고창석의 공적비이다. 고창석은 일제강점기시절 암울한 시대에 교육기관등의 부재로 인하여 수많은 재목들이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고 문맹을 퇴치하고 나라의 재목을 기르기 위하여 농촌진흥회를 결성하여 기금을 조성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여 각계로 부터 후원을 받아 교사를 마련하여 원근의 많은 사람들에게 문맹에서 벗어날수 있도록 교육에 힘썼다. 일제강점기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