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상당산성
- 효자문
- 각연사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선돌
- 부도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박물관 구경하기 (49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C5jo/btsKqQ5WFrO/kg2qM67BHsxcUWD33oJCQk/img.jpg)
한독의약박물관에 있는 종합의학책입니다. 일본 동경 대총교예사 刊, 仁和壽本. 신라시대 불교적으로 윤식된 의방서로서 일본에서 재간된 것이다 의심방 의심방종합 의학책. 30권이다. 일본 사람 단파강뢰(丹波康賴)가 982년에 지었다. 이 책은 당대(唐代) 이전의 여러 가지 의학책을 집록(輯錄) · 정리한 것이다. 내용은 의학 이론 및 각과의 임상을 포괄한terms.naver.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JHkZ/btsKpiQblXb/M21MkIsMkJrNMcRI1jPrCk/img.jpg)
한독의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금계납상표는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나온것으로 금랍은 키니네(quinine)를 우리말로 음차한 것으로, 키니네는 퀴닌이라고도 부르며 말라리아와 학질의 특효약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dybb/btsKp6O2h9p/IWm8Z6WjaZzdfOkvWA12y0/img.jpg)
한독의약박물관에 비치되어 있습니다.약종상영업(藥種商營業)간판으로 일종의 약국을 한다는 표시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7rDR/btsKo8mHwnf/iy7Cht3pzHtSmdQVhdMmIk/img.jpg)
한독의약박물관에 비치되어 있는 약종상수험강의록 제1호입니다.일제강점기 동안 약종상은 약품 판매를 담당했습니다. 이들은 시험에 합격하고 경찰관서로부터 영업 허가를 받았습니다. '약종상수험강의록'은 1940년 9월 첫 호가 발행된 이후 지속적으로 출판되었습니다. 이 책은 일본 도쿄에서 인쇄되었고 일본어로 작성되었습니다. 책자는 약종상이 되기 위해 필요한 법규, 독극물을 포함한 다양한 약품에 대한 강의, 약종상 시험 절차 및 개업에 필요한 서류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종상수험강의록 제1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Xflm/btsKpjO7oGo/lHnc4JmmSwLDMLkPQ3D2m0/img.jpg)
약궤는 일반적으로 약재를 보관하기 위해 뚜껑이나 문짝이 달린 직육면체 형태의 나무 상자를 의미합니다. 독극약궤는 독약과 극약을 분리하여 보관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으로, 안전을 고려하여 내부에 추가 뚜껑을 설치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상자의 표면에는 '독약', '극약', '극성약품'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독약에는 웅황, 신석, 경분 등이, 극약에는 파두와 부자가, 그리고 극성약품에는 수은 등이 흰색 글씨로 명확하게 표기되어 있어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독극약궤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