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보성오씨
- 여흥민씨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외사리 당간지주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각연사
- 영모재
- 밀양박씨
- 사인암
- 곡산연씨
- 현충시설
- 경주김씨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선돌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부도
- 효자각
- Today
- 0
- Total
- 521,073
목록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374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날씨가 덥다. 더운 와중에도 벌판에 모들은 싱그러움을 자랑한다. 오랫만에 다시 찾은 남하리 석불은 언제나 그렇듯 반가운 미소가 얼굴에 가득하다. 민속체험관에서 행사에 앞서 주위를 정리하나 보다 주위가 조금은 산만하니 정리가 한참이다. 남하리 석조미륵보살입상군(南下里 石造彌勒菩薩立像群)은 증평 시가지에서 청원군 초정 방면으로 가다 남하2리 미륵마을의 민속체험관 옆에 위치해 있다. 이중 가장 큰 불상은 아랫부분이 땅 밑에 묻혀 있어 정확한 크기를 알 수 없으나 현재 땅 위에 노출된 높이는 3.5m이다. 머리에는 관대가 있는 비교적 높은 보관(寶冠)을 썼는데, 두 귀 위에 장방형의 홈이 있어 보관(寶冠)에 장식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언제나 보아도 참 듬직하다는 표현이 좋다.가까운 거리에 있는 광덕사 석불..

마을앞에 자리한 나무밑에 있는 돌탑입니다. 자연석을 쌓아 원추형의 돌탑을 만들었습니다.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비는 민초들의 자연을 향한 작은 마음쌓음일겁니다. 옥화리 마을을 지나 커피숍 대경 못미쳐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습니다. 자꾸만 사라져 가는 마을의 풍경입니다. 돌탑은 마을로 들어오는 액이나 질병, 살(煞), 호환(虎患), 화기(火氣) 등을 막기 위해 쌓은 신앙 대상물이다. 하지만 마을 앞의 허한 방위를 막기 위해서나 특정한 모양의 지형을 보완하기 위해 쌓은 단순 비보물(裨補物)이기도 하다. 다른 신앙 대상물에 비해 풍수적인 비보(裨補)신앙의 모습을 가장 강하게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갯마루나 사찰입구에 지나가는 길손이 마구잡이로 던져 놓은 잡석의 서낭당이나 개인이 신을 향한 구도의 마음으로 쌓..
청천면 창리에 위치한 장기바위라고 불리는 거대한 돌입니다.지금도 이 바위가 자리한 곳의 지명은 장기바위들 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바위위에는 장기를 놓아도 손색이 없는 장기판 비슷한 모양이 가로세로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보호울타리도 잘 정리되어 있었고 안내표지판도 있었지만 지금은 조금은 관리가 부실한 것 같습니다. 지금은 차량통행이 빈번한 이차선 도로가에 있으며 사람들의 관심밖으로 밀려난 듯 합니다. 예전부터 바위에 손상을 가하거나 하면 화를 입는다고 전해지며 마을사람들은 바위를 신성시 여기며 마을의 수호석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낭성면 갈산리에 있는 보성선씨들의 재실입니다. 숭모재라는 현판을 달고 있습니다.갈산리로 동네에 접어들면서 동네입구 우사에서 오른쪽으로 보이는 산등성이 밑인 절골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숭모재(崇慕齋)라는 현판을 달고 있습니다. 숭모재 옆으로는 샌드위치판넬조 관리동이 1기 자리하고 있습니다. 중국 노(魯)나라 대부(大夫) 선백(宣伯)의 후손인 시조 선윤지(宣允祉)는 1382년(우왕 8) 명나라 문연각 학사(文淵閣學士)로서 사신의 명을 받들고 고려에 왔다가 귀화하였다. 전라도안렴사가 되어 해안 지방에 침입하여 노략질하던 왜구들을 격퇴하여 민심을 안정시켰다. 유교의 발전과 인재 양성에도 힘썼다. 그 후,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벼슬을 버리고 보성(寶城)으로 은거하여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

비상리 마을초입에 있는 초계인변시석의 효행비입니다. 변시석(1603-1664)은 초계인으로 비홍리에서 태어났다. 자는 주향이며 호는 백은이다.증조 변충남은 중종대에 직산 구기로 부터 비홍에 이거하여 증 통정대부장예원 판결사가 되었고 조 변경복은 임란 때 55세로 노모를 등에 모시고 피화하여 선조 35년에 정표 정려 되었다.부 변유인은 은덕행의가 아름답고 서계 이득윤선생과 지기역리로 상통하였다.변시석은 어려서 부터 효성이 두터워 여덞형제중에서 효봉이 우뚝하였다. 또한 어버이의 뜻을 고여 스스로를 가려 지치는데 삼가며 동기부치에 은헤를 베풀고 병든이와 어려운 이를 건져주며 신의를 지키고 선근을 심었다.효로서 지평에 증직되고 때에 고을사람들이 여러 번 글을 올려 표정을 원하였으나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되 뒷날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