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부여박물관
- 부도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법주사
- 영모재
- 각연사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현충시설
- 화양구곡
- 여흥민씨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비석
- 문의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충북의 문화재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효자문
- 선돌
- 경주김씨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12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춘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조보실좌상입니다. 제올라이트(불석)으로 만들었습니다. "경상도에서 가져온 돌로 만든강원도의 보살"이라는 긴 이름도 있습니다.

저는 슬하에 자식이 없습니다. 젊은시절 남편과 살면서 이제나 저제나 아이소식을 기다렸는데 하늘에서 점지를 안해 주시더군요. "괜찮아 아직 나이가 있으니 기다려 보자구" 하는 남편의 말을 의지하여 아이소식을 기다렸지만 결국 아이를 낳아보지를 못했습니다. 주위에서 양자라도 들이라고 하는 소리가 들릴때마다 혼자 말없이 아무도 없는 곳에서 많이도 울었답니다. 그렇게 자식없이 남편과 둘이 살았지요 아이가 없어도 남편과 둘이 나름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가끔씩 지나는 아이들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나의 눈길을 느낄 때 괜히 무언가 남편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지요. 그런 나를 남편은 바라보며 손을 꼬옥 잡아주곤 했습니다. 당신만 내 옆에 있어주어도 행복하다고 했습니다. 나이가 들어 몹쓸병으로 병원에 입원을 하던 남편은 병..

청천면 송면리에 위치한 선유구곡의 와룡폭포옆에 있는 암반에 새겨진 암각자 입니다. 제가 짐작하기로는 왕선회라는 단체의 회원들이 이 곳을 방문하여 새긴 암각자로 추정이 됩니다.

강상촌에 위치한 천곡 송상헌의 유적지는 많이 가보았지만 조금 옆에 있는 무덤은 지나는길에 바라보며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오랫만에 시간내어 무덤을 찾아보았다. 여산송씨들의 재실이 보인다. 재실 옆으로는 천곡선생의 사적비가 서있다. 수의동은 흥덕구 서남단에 있는 법정동으로 남북으로 긴 편이며, 총 면적은 3.72㎢이다. 주요문화재로는 천곡송상현유물(시도유형문화재 ), 동래부사송상현충렬사(시도기념물 ), 송상현묘소 및 신도비(시도기념물 )를 비롯하여 비지정문화재인 박우현묘소가 있으며, 자연마을은 가마골(부동), 강촌(강상리·강상촌), 도감(도가미), 도장골, 살고개(쌀고개), 새고개, 수절(숫절), 유성지(유성기), 정상(샴위), 헛가마골이 있다. 수의동 충열사둘러보기 (tistory.com) 수의동 충열..

국립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태함입니다. 태함이라 함은 예전에, 궁가(宮家)에 출산이 있을 때 그 출생아의 태(胎)를 묻던 석실(石室)을 말합니다. 태실도감(胎室都監) - sillokwiki (aks.ac.kr) 태실도감(胎室都監) - sillokwiki 조선 전기에 왕실의 태실(胎室) 조성을 총괄한 임시 관서. 개설 왕의 태실을 새로이 조성할 때 설치하는 임시 관서로, 태실 후보지를 찾는 일부터 태(胎)를 안치하는 일, 그리고 태실 조성을 마무 dh.aks.ac.kr

국립춘천박물관에 전시중인 석조 비로불입니다. 원주시 본저전동에서 서울시 경복궁으로 옮겨진 불상입니다. 고려시대 10세기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중생과 부처, 미혹과 깨달음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뜻하는 지권인智拳印의 손갖춤을 한 것이 특징입니다. 둥글넓적한 얼굴과 물결무늬 옷주름, 대좌의 천인상과 사자 등 고려 초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비로자나불 - Daum 백과 비로자나불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광명의 부처를 의미하는 신앙대상. 법신불 이 부처님은 보통 사람의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광명(光明)의 부처이다. 범어 바이로차나(vairocan 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