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화양구곡
- 부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선돌
- 문경새재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효자각
- 밀양박씨
- 오블완
- 각연사
- 부여박물관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흥덕구(興德區) (15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김봉로(1679~?)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효자로 본관은 청풍(淸風)이며, 자는 내경(來卿)이다. 집의(執義) 김효백(金孝伯)의 현손이자 김단(金糰)의 아들이다.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을 역임했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극진하였다. 어머니가 병환에 고생을 하자 엄동설한에 눈 위에서 무릎을 꿇고 간절히 기도하였으며, 어머니의 병이 위중해지자 극진히 간호하니 기력이 회복되어 14년을 연명하였다.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증직되고 1758년(영조 34)에 명정(命旌)되었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탑연리(塔淵里)에 효자각이 세워져 있다. 효자문 현판에는 효자증통덕랑사헌부지평김공봉로지려(孝子贈通德郞司憲府持平金公鳳魯之閭)라고 적혀있습니다. 또한 정려기도 같이 걸려있습니다. 효자문 뒷쪽으로는 김봉로의 선대묘들..

충북대학교 야외박물관에 있는 안태고향이 강서동 부모산인 미륵입니다.미륵이란 친구를 뜻하는 미트라(mitra)에서 파생된 마이트리야(Maitreya)의 음역이다. 중국식으로 옮기면 자씨(慈氏)보살이지만 본래의 뜻은 구원의 불이다. 미륵보살은 인도의 바라나시국 바라문의 집안에서 태어나 석가모니불의 교화를 받아 수도하였고,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수기를 받았다. 그 뒤 도솔천에 올라가 지금까지 천인(天人)들을 위해 설법하고 있다고 한다. 마을에서 민긴신앙의 대상으로 세워졌던 석상으로 미륵 또는 장승등의 명칭으로 불리웠다.얼굴이나 신체의 형상을 간략하게묘사 하였다.부모산 미륵은 미마에 백호도 있으며 근엄한 모습과 더불어 해학적인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충북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에서 그 모습을 볼수가 있습니다.

저산마을 입구에 있는 원추형의 돌탑이다. 마을에 있는 학천과 더불어 정월14일에 제를 지낸다.저산리도 지금은 많이 변하였다. 산을 깍아 전원주택 단지를 조성하였으며 평화로왔던 농촌의 풍경은 사라지고 점차 도시화되어 가는 느낌이다. 저산리는 본래 청주군 서강내 이상면의 지역으로 은적산에서 저산쪽으로 뻗은 산줄기가 돼지가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모양과 같다하여 저산, 또는 계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백천리, 상저산리, 하저산리와 남차이면의 삼치리 일부를 병합하여 저산리라해서 강내면에 편입하였다. 1982년에 역골, 안말, 윗말을 1구로 하고 큰말, 백천동, 성재를 2구로 분리하였다. 慶州李氏 中始祖 松窩公의 三世 建이 남이면 팔봉리에 永眼한 이래 八世孫 昌鶴公(29세)이 저산리에 정착하여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관련항목 보기에 있는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1551~1592]의 위패 모신 사당. 충렬공(忠烈公) 송상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래부사로서 동래성을 사수하다 순절하였다. 동래에 있던 묘소를 이장한 후 1610년(광해군 2)에 충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이 사당을 건립하였다. 흥덕구 수의동 강촌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이 비좁아 약 50년 전에 후손들이 원래의 위치에서 약 50m 위쪽으로 이전하여 증축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1980년대에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으로 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칸으로 된 마루방에 3개의 분합문을 달았으며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했다. 가구형식은 1고주 5량가이며 모..

지금의 건물은 1980년대에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으로 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칸으로 된 마루방에 3개의 분합문을 달았으며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했다. 가구형식은 1고주 5량가이며 모로단청을 하였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웠고, 사당 앞에는 솟을삼문을 설치하였는데 “忠烈廟(충렬묘)”라고 새긴 현판을 달았다. [현황] 충청북도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2004년 청주시에서 새로 천곡기념관과 사당을 신축하여 위패를 모시게 되자, 후손들이 송상현 부인의 혼백을 모시는 사당으로 삼아서 제향하고 있다. 주변이 공원화되어 있고, 문화유산 해설사도 상주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에 있는 밀양박씨(密陽朴氏)의 정려문. 여산송씨(礪山宋氏) 송현기(宋鉉器)의 부인인 밀양박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855년에 세운 정려문이다. 흥덕구 강서사거리에서 청주가로수길을 따라 경부고속도로 청주 IC 방향으로 약 3.3㎞ 가량 가면 오른쪽에 수의동 강촌마을이 있는데, 이 정려문은 마을 입구 공터의 왼쪽에 있다. 건물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지붕 옆면에 풍판을 달았다. 얕은 자연석 기단 위에 높이 약 1m 가량의 팔각형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원기둥을 세웠다. 두공은 이익공 형식이며, 첨차 위의 전면에는 용머리 조각을, 후면에는 봉황의 머리를 조각하였다. 단청은 모로단청으로 하였다. 건물 안에는 편액과, 중수기가 나란히 걸려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