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춘천박물관 석조광배(春川博物館 石造光背) 본문

박물관 구경하기/춘천박물관(春川博物館)

춘천박물관 석조광배(春川博物館 石造光背)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23. 9. 27. 07:52

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석조광배 입니다.

광배(光背)는 신성한 존재로서의 위대함과 초월성을 상징한다. 기본 형식은 머리의 두광(頭光), 몸에서 발산하는 신광(身光), 그리고 두광과 신광을 포함하여 몸 전체를 감싸는 거신광(擧身光) 또는 전신광(全身光)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불상[여래상]뿐만 아니라 명왕(明王), 보살, 나한[제자], 천인(天人) 등 불교의 여러 존상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며, 각종 문양을 추가하여 장엄하기도 한다.

 

 

불교에서 빛[광명]이 진리와 지혜의 상징이라는 생각은 부처의 몸에서 무한한 빛[무량광]이 나와 세상을 비추고 중생을 제도한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 『대지도론(大智度論)』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 따르면, 부처의 비범함을 나타내는 신체적 특징인 32길상(吉相)의 하나로서 몸 주변에 길이 1장(丈)의 빛이 둘러싸고 있다는 장광상(丈光相)을 포함하거나, 부처 몸의 빛은 항상 존재하는 상광(常光)뿐만 아니라 필요에 의해 수시로 발산하는 방광(放光)이 있다고 설명되기도 한다. 이 밖에 불교 경전에서는 부처가 내는 빛을 둥근 형태 또는 원만함을 뜻하는 ‘원광(圓光)’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유사』에서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719년)의 화염문이 새겨진 광배가 ‘화광(火光)’으로 표기된 예는 옛사람들의 인식을 보여 준다.

비가시적인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불교 미술의 엄격한 도상적 규범이 적용되지 않았기에 제작자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였다. 기본 형식인 두광, 신광, 거신광 또는 전신광에다 화염, 연화, 당초(唐草), 연주(聯珠), 보주(寶珠) 등의 문양과 화불(化佛), 비천(飛天) 등의 불교적 요소가 추가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인도나 간다라의 초기 불상에서는 장식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연속된 반원형 또는 톱니형 무늬를 두른 단순한 형태의 둥근 두광이 만들어졌다. 이후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글거리는 불꽃을 추가한 화염 광배가 출현하였으며, 중국에서는 남북조시대 5세기 이후에 재래의 화염문양이 결합된 좌우 대칭의 기하학적인 중국식 화염 광배가 크게 유행하였다. 이 시기에는 위쪽 끝이 뾰족한 보주형 광배가 등장한 것도 특징이다. 수·당대 불상의 광배에는 보상화문(寶相華文) 등의 화려한 모티프가 더해져 장식성이 강화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