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당산성
- 부도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성오씨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밀양박씨
- 법주사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한독의약박물관 의방유취(韓獨醫藥博物館 醫方類聚) 본문
세종의 명으로 1437~39년에 북경에 사신과 역관(譯官)이 파견되어 〈내경 內徑〉에서부터 당·송·원과 명초까지의 의서들을 폭넓게 수집(蒐集)하여 1442~45년에 집현전의 김예몽(金禮蒙)·유성원(柳誠源)·민보화(閔普和)·김문(金汶)·신석조(辛碩祖)·이예(李芮)·김수온(金守溫) 등과 의사인 전순의(全循義)·김유지(金有知) 등에 의해 365권으로 편찬·완성되었다. 그후 세조의 명으로 성종대에 이르기까지(1465~77) 양성지(梁誠之)의 주관 아래 유신(儒臣)과 의관(醫官)이 함께 교정해 도합 266권으로 간행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의방유취〉는 국내본이 아닌 일본판인데, 이는 임진왜란 당시 왜장 가토[加藤]가 다른 문화재와 함께 약탈하여 일본으로 가져갔으며, 다른 보관본은 불에 타 없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에 일본인 의사 기타무라[喜多村直寬]가 〈의방유취〉 복간본(覆刊本) 266권 2질을 선물용으로 보내오기 전까지는 국내에서 구입할 수 없었다.
국내의 원간본(原刊本)은 강화본 〈세종실록 世宗實錄〉과 유사한 자체인 을해활자(乙亥活字)로 한백지(韓白紙)에 씌어 있었는데, 이 원본은 지금 일본의 궁내성(宮內省) 도서관에 12권이 사라지고 254권만이 보관되어 있으며, 복간본 2질 중 1질이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현재는 1965년에 동양의과대학에서 일본의 목활자본을 영인한 〈의방유취〉와 북한의 의학과학원 동의학연구소에서 번역한 것을 국내의 출판사에서 영인한 〈의방유취〉가 있다.
이 책의 체제는 진찰법·처방법 등 의학의 일반이론을 다룬 총론의 3권과 모든 질병을 95문으로 나눈 나머지 263권의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황제내경소문 皇帝內徑素門〉으로부터 〈소학의경 小學醫經〉에 이르기까지 153종류의 책들을 시대순으로 인용하여 분야별로 관련 학설과 이론을 모아 싣고 출전을 밝혔으며, 처방은 뒤에 따로 취합(聚合)하여 놓았는데 여기서 의방유취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한의학 연구자들에게는 학술적 가치와 아울러 실용적 측면에서도 필수적인 의서로 인정받고 있다.[다음]
'박물관 구경하기 > 음성한독의약박물관(陰城韓獨醫藥博物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독의약박물관 향약제생집성방(韓獨醫藥博物館 鄕藥濟生集成方) (0) | 2024.06.17 |
---|---|
한독의약박물관 언해태산집요(韓獨醫藥博物館 諺解胎産集要) (0) | 2024.06.15 |
한독의약박물관 향약집성방(韓獨醫藥博物館 鄕藥集成方) (0) | 2024.06.14 |
한독의약박물관 시종통편(韓獨醫藥博物館 時種通編 ) (0) | 2024.06.13 |
한독의약박물관 우두신설(韓獨醫藥博物館 牛痘新說)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