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원남면 이명응영세불망비(遠南面 李明應永世不忘碑)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음성군(陰城郡)

원남면 이명응영세불망비(遠南面 李明應永世不忘碑)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4. 8. 14. 06:46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 위치하고 있는 이명응 불망비의 모습이다. 글씨를 자세히 보면 관찰사이공명응영세불망비(觀察使李公明應永世不忘碑)라고 볼수가 있다. 한국민족 문화대백과를 찾아보니 이명응에 대한 자료가 있다.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이명응은 1827(순조 27)∼?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의(景誼). 참판 휘중(彙重)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어재찬(魚在瓚)의 딸이다.아내는 홍재학(洪在鶴)의 딸이며, 흥선대원군의 사촌동생이다.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민승호(閔升鎬)와 함께 홍문관교리에 파격적으로 임명되었다.다음해 식년문과의 충청도경시관으로 임명되었는데, 이 식년시의 초시는 관찰사가 주관하기로 예정되었으나 대원군의 심복으로 경시관이 모두 교체되었다.그뒤 순조롭게 승진하여 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에 이르렀다. 1871년에는 종정경이 되어 전주이씨가 아닌 자들이 포함되어 말썽이 된 『선원보략(璿源譜略)』의 개수를 담당하였다.대원군이 실각한 뒤에도 계속 종정경으로 남아 있다가 1877년 다시 부제학으로 옮겼다.큰 가뭄이 들고 전염병이 유행하던 다음해에 충청도관찰사에 임명되어 2년반 동안 재임하면서 치적이 있어 한 차례 연임되기도 하였다.1881년 개화정책에 반대하는 유림들의 상소가 있은 뒤 민씨일파를 중심으로 군권이 개편될 때 도총부도총관에 특별히 발탁되었다.또, 이재선(李載先)사건이 일어나자 형조판서가 되어 추국(推鞠)에 참여하였다.임오군란 후 피신하였던 민비가 환어할 때 배종한 공으로 가자(加資)되었다.1893년 판의금부사에 이르기까지 민씨정권하에서 이조판서·형조판서·지종정경 등 요직을 지냈다. 이명응 [李明應]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