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임경업장군과추련도(林慶業將軍과秋蓮刀) 본문

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임경업장군과추련도(林慶業將軍과秋蓮刀)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0. 6. 15. 14:01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단월동에서 용천검·추련검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용천검과 추련검」임경업 장군에 얽힌 전설로서, 용천검과 추련검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용천검은 일제 때 없어지고 추련검만 남아 있다. 충주시 단월동에는 사적 제189호로 지정되어 있는 임충민공 충렬사 가 있는데 이곳에 보검 추련검이 있다. 충주 지역에는 임경업 장군과 관련된 전설이 많이 있는데, 「구렁이 비늘 세 개」「대림산의 유래」(단월동) 등이 대표적인 설화이다.
[채록/수집상황]
1984년에 이경선이 집필한 「임경업의 인물 유적 전설의 조사연구」에 실려 있으며, 2002년 충주시에서 간행한 『충주의 구비문학』에도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임경업평안도 철산 땅의 소농보의 권관으로 있을 때 하루는 용천이라는 못가를 거닐고 있었다. 그런데 큰 뱀 한 마리가 커다란 물건을 물고 그의 앞에 나타났다. 임경업이 재빨리 옷을 벗어 그 앞에 던졌더니 뱀이 놀라면서도 한편으로는 의심스러운 눈초리를 하며 물속으로 사라졌다. 그런 일이 있은 며칠 후 임경업이 그 못가를 거니는데 뱀이 전번과 같이 나타나 이번에는 전보다 짧은 물건을 물고 나오는 것이었다. 임장군이 옷을 벗어 던져주니 그곳에 입에 물고 있던 물건을 떨어뜨리고 사라졌다. 이것이 용천검이다.
또한 임장군이 의주 부윤으로 있을 때다. 청천강 속에서 물개 한 마리가 보검을 물고 나와 임장군에게 바쳤다. 장군이 크게 기뻐하며 이를 받은 후 무인으로서 명성을 더욱 떨쳤다고 한다. 용천검과 추련검 두 보검에 임경업이 지은 칠언절구의 시가 적혀 있다. 안타깝게도 용천검은 일제강점기에 없어지고 추련검만 남아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용천검과 추련검」의 주요 모티프는 ‘용천의 뱀과 용천검’, ‘청천강의 물개와 추련검’ 등이다. 임경업이 동물의 도움으로 신기한 용천검과 추련검을 얻었다는 보물획득담이다. 임경업 장군은 출생 과정에서 용의 아들로 태어났으니 물과 관련이 매우 깊다. 그가 용천에서 용천검을 얻고 청천강에서 보검을 얻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임경업이 태어나고 자란 곳은 충주시 단월동으로 여기에는 달천강이 흐르고 있다. 큰 뱀과 물개가 임경업의 인물됨을 인지하고 보검을 주고 있다. 이렇게 용천검과 추련검을 받은 임경업은 장차 유명한 장군으로서 세상에 위용을 떨치게 되리라는 암시가 담겨 있다. 이외에도 단월동임경업에 얽힌 전설로서는 「충신 임경업」이 있다.

...디지탈충주대전참조.....

..........................

 

추련도는 임경업 장군의 보검으로 용천검과 추련도가 있었는데 용천검은 전쟁 시 직접 쓰던 검이었으나 6.25때 분실되었고 한다. 추련도가 남아 있는 단검이 유일한 유물로 평상시 보호용으로 애용한 보검으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된 문헌은 남아있지 않다.
현재 충렬사 유물전시관에 전시하고 있으며 칼과 칼집 모두 양호한 상태이다. 도신은 철, 손잡이와 칼집은 목재, 목재를 고정시키는 장식은 황동과 동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칼 코 등을 얇은 철판으로 제작도어 있으며, 그 위에 주석·납으로 합금하여 도금하였다. 도신 좌우측면에 명문이 남아 있다. 보관함은 후대에 제작한 것이다.
秋蓮刀라는 칼의 이름은 이 검에 새겨진 싯귀에서 따온 것이다. 秋蓮 즉 가을 연꽃은 다른 연꽃이 피지 않을 때 의연하게 핀 꽃 즉 지조가 있는 대장부를 상징한다고 본다.
2005년 7월 15일부터 동년 9월 9일까지 보존처리를 실시하여 보존상태가 양호한 장시도이다.

이 秋蓮刀 양날에는 다음과 같은 검명시(劒銘詩) 28자가 새겨져 있다.

時呼 時來 否再來 一生一死 都在筵
平生 丈夫 報國心 三尺 秋蓮 磨十年
시절이여 때는 다시 오지 않나니
한번 태어나고 한번 죽는 것이 모두 여기 있도다.
대장부 한평생 조국을 위한 마음뿐이니
석자 추련검을 십년동안 갈고 갈았도다.

이 추련도는 임경업(林慶業, 1594~1646) 장군이 애용하였다고 전해지는 보검으로 역사적, 기술사적으로 가치가 매우 큰 유품이며 보검의 상태 또한 양호하여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도신에는 명문이 있어 문화재로서 지정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도유형문화재 제300호 (충주시)...문화재청홈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