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보성오씨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부도
- 법주사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사인암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각연사 비로전 비로불(覺淵寺 毘盧殿 毘盧佛) 본문
각연사는 신라 법흥왕때에 유일대사가 현재의 충북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근처에 터를 잡고 절을 지으려 했다. 재목 다듬는 공사를 하는데, 까마귀 떼가 날아들어 쉬지 않고 대팻밥과 나무부스러기를 물고 어디론가 사라졌다. 유일대사는 이 모습을 기이하게 여겨 까마귀들을 따라가 보았다. 현재의 각연사 터 연못에 대팻밥이 떨어져 있어 들여다보니 연못 안에 돌부처님 한 분이 계시고, 그 부처님 몸에선 광채가 퍼져 나왔다. 부처님을 뵙고 유일대사는 크게 깨달은 바가 있어 못을 메우고 그 자리에 절을 세웠다. 연못속의 돌부처님을 보고 깨침을 얻었다 하여 "깨달을 각(覺), 연못 연(淵)"자를 써, "각연사"라고 이름을 지었다. 절 주변은 우뚝 솟은 산들이 마치 연꽃이 피어있는 듯 둘러싸여 있다.
비로전은 1982년 12월 17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433)을 본존(本尊)으로 한 비로전으로 불상이 조성된 통일신라시대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23년 중수할 때 대들보에서 발견된 문서에는 고려시대인 944년(혜종 1)에 중수된 기록이 있고 1648년(인조 26)에 중건되어 1655년(효종 6), 1899(광무 3)에 중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75년에 보수하면서 중도리를 빼는 등 도리 상부를 완전히 변형하여 원형을 잃었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각연사 비로전은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전체적으로 단아하며, 당시의 건축기법을 잘 보이고 있다.
각연사 비로전에 있는 비로불은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이다. 전체 높이 3.02m, 불상 높이 1.28m이다.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와 대좌가 모두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다. 삼각형의 얼굴에 이목구비도 평범하다. 움츠린 어깨와 빈약한 가슴, 평면적인 하체, 그리고 간략하게 표현된 옷 주름에서 불상 특유의 비로자나불을 보여주면서도 얼굴과 몸, 옷주름에서는 10세기 불교조각양식위엄을 찾아볼 수 없다. 이렇듯 불상의 양감이 줄어들고 모습이 온화해지는 반면, 불상 뒤의 광배와 불상을 앉힌 대좌의 장식이 화려해진 것은 통일신라 후기에 나타나는 석조여래좌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9세기의 전형적인 이 엿보인다. 석굴암 본존불 이후의 조각양식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충북의 바람소리 > 괴산군(槐山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 석부재(七星面 台城里 覺淵寺 石部材) (0) | 2017.11.23 |
---|---|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 귀부(七星面 台城里 覺淵寺 龜趺) (0) | 2017.11.22 |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 범종각(七星面 台城里 覺淵寺 梵鍾閣) (0) | 2017.11.21 |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 비로전(七星面 台城里 覺淵寺 毘盧殿) (0) | 2017.11.20 |
연풍면 원풍리 마애불(延豊面 院豊里 磨崖佛) (0) | 2017.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