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立像) 본문

전국방방곡곡/여기저기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坡州 龍尾里 磨崖二佛立像)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8. 3. 13. 20:12



파주 작은아이가 군생활을 하니 인연이 된 곳.

100일 휴가나온 작은아이 데려다 주고 내려오는 길.가까운 장지산 용암사를 들렸다.

사진으로만 뵈던 용미리석불입상을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옆으로 뒤에서 한참이고 바라다 보았다.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다.

보물 제93호. 높이 17.4m. 천연 암벽을 몸체로 삼아 그 위에 목·머리·갓 등을 따로 만들어 얹어 놓은 2구()의 거불()이다. 이 불상과 같이 자연 암벽을 이용하여 몸체를 만드는 수법은 고려시대에 들어와 몇 예가 보인다.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 제115호)이 이와 거의 같은 수법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보물 제822호)도 비록 머리를 따로 만들지는 않았으나, 천연의 암벽을 그대로 이용하여 몸체를 표현하였다.



마애이불입상 정상에서 아래를 내려다보았을 때, 왼쪽의 불상[]은 4각형의 갓을, 오른쪽의 불상[]은 원통형의 관을 쓰고 있다. 둥근 갓을 쓴 불상은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과 거의 비슷하나 그보다는 세속화된 얼굴을 보여준다. 인체의 불균형, 옷주름의 형식 등으로 볼 때, 보다 후대에 조성된 작품으로 보인다.

이처럼 머리 위에 갓이나 천개()를 씌우는 것은 눈 또는 비로부터 불상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고려시대에 특히 유행하였다. 968년(광종 19)에 조성되었다고 전하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을 비롯하여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7호), 강릉 신복사지 석불좌상(보물 제84호) 등에서 볼 수 있다.



이 두 불상의 얼굴은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나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의 얼굴과 같이 모두 이마 부분보다 턱 부분이 넓은 거의 4각형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가늘고 긴 눈, 평평한 콧잔등의 큰 코, 꾹 다문 큰 입 등이 대체로 큼직큼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인상()은 왼쪽의 방립불()은 두 손을 가슴 높이 들어 올려 합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합장한 손이 유난히 커서 신체 비례에 맞지 않는다.

오른쪽의 원립불()은 두 손으로 연꽃 가지 같은 것을 잡고 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등과 비교하면,

손의 위치만 바뀌었을 뿐, 비슷한 모습으로 연꽃을 들고 있다. 형태로 보아 이 불상의 명칭 또한 미륵보살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가능하게 해준다.



신체는 통견()의 법의로써 온몸을 감싸고 있다. 가슴에는 군의()를 묶은 띠 매듭이 보인다. 그 아래로 U자형의 옷주름이 선각()되어 있다. 두 손을 감싸 내리는 세로줄의 옷자락은 비교적 유연하게 처리되어 있다.

구전()에 의하면 원립불은 남상(), 방립불은 여상()이라고 한다. 전설의 시대적 배경이 고려 선종 때라고 구체적인 왕명까지 들고 있는 것을 보면, 이 불상의 조성 연대를 추측해볼 수 있다.



이 불상은 고려 초기 건국의 신흥 기운을 타고 조성된 많은 거상()들의 한 예이다. 단지,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이나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들과 같이 조각 수법이 그 기운을 따르지 못하여 괴체성()을 면치 못한 대표적인 불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불상의 옆에는 명문이 남아 있어서 앞으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坡州龍尾里磨崖二佛立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