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티스토리챌린지
- 사인암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국립청주박물관
- 상당산성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효자문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밀양박씨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효자각
- 부도
- 문경새재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선돌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연천문화원 관찰사 서유방선정비(漣川文化院 觀察使 徐有防善政碑) 본문
서유방(徐有防)은 1741(영조 17)∼1798(정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원례(元禮), 호는 봉헌(奉軒). 한성부서윤 서종적(徐宗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승지 서명형(徐命珩)이고, 아버지는 수찬 서효수(徐孝修)이다. 어머니는 이언신(李彦臣)의 딸이다. 형이 이조판서 서유린(徐有隣
)이다.1768년(영조 44)에 진사가 되어 음보로 교관(敎官)을 지내다가 1772년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홍문관부응교(弘文館副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정조가 즉위하자 우부승지에 임명되었으며, 1778년(정조 2)에 대사간의 자리에 있을 때 『속명의록(續明義錄)』을 언해(諺解
)하여 8도에 반포하게 하였다.
비석의 전면에는 관찰사서공유방선정비( 觀察使徐公有防善政碑)라고 음각되어있다.
그 뒤 이조참의·승지·대사성·대사간·대사헌 등의 요직을 여러 차례 역임했으며, 1782년에는 규장각직제학(奎章閣直提學)에 임명되었다. 1783년에 개성유수로 있을 때, 두문동태학생(杜門洞太學生) 72인 가운데 3인을 개성부숭절사(崇節祠)에 봉안하도록 하였다.
1785년에 이조참판을 거쳐 경기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1788년에 한성부판윤, 1792년에 형조판서, 사역원 및 장악원의 제조(提調)를 역임하였다. 1792년에 홍명호(洪明浩)가 금갑도(金甲島)에 유배될 때 함께 고신(告身: 관직 임명 사령장)을 삭탈당했으나 곧 사면을 받아 이조판서·병조판서·공조판서 등을 거쳤다.1794년 검교직제학(檢校直提學)으로 있다가 제학(提學) 정민시(鄭民始) 등 10인과 함께 고양(高陽)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다시 부사직(副司直)의 자리에 올랐으며, 1795년에 두 번째로 경기도관찰사로 부임했다가 그 해 진하사(進賀使)의 부사로서 북경을 다녀왔다. 1797년에는 강원도관찰사로서 간성의 인구 동태를 조사하여 『간성유민환접타민이접성책(杆城流民還接他民移接成冊)』을 지어 올렸다.
삼사의 장(長)을 여러 차례 역임했고, 전관(銓官)을 맡아보는 이조와 병조의 판서를 거치면서 정조 때 권력의 중추부에 있었다. 서도에 능했는데,
1785년에 쓴 규장각 상량문 등의 글씨가 있다. 시호는 효간(孝簡)이다.
연
'전국방방곡곡 > 연천(漣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천문화원 석물(漣川文化院 石物) (0) | 2019.02.19 |
---|---|
연천문화원 마전군수 홍재응의 영세불망비(漣川文化院 麻田郡守 洪在應 永世不忘碑) (0) | 2019.02.18 |
연천문화원 차탄리석불입상(漣川文化院 車灘里石佛立像) (0) | 2019.02.17 |
연천문화원 원나라 기황후 릉터의 석양(漣川文化院 元나라 奇皇后 陵터의 石羊) (0) | 2019.02.17 |
영국군 추모공원내 영국군 동상 (0) | 201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