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문
- 밀양박씨
- 법주사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화양구곡
- 상당산성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각연사
- 부여박물관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오블완
- 부도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동이면 금암3리 마을자랑비(東二面 金岩3里 마을자랑비) 본문
금암3리는 용암마을이라고 불리우는 고창오씨들의 집성촌입니다.
금암리는 군동면(郡東面) 용암리(龍岩里)라 불리던 마을이며, 1739년 기록에는 군동면 용암리에 47호가 살았고 1891년 신묘장적(辛卯帳籍)기록에는 55호에서 15세 이상 255명이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금암리 유래는 마을 뒤에 용암사란 절이 있고 큰 바위들이 용같이 뻗었다 하여 용암말 이라 불렸고 옆마을이 목시, 목쇠인데 목쇠는 목금(木金)으로 목금의 금(金)자와 용암의 암(岩)자를 따서 두 마을의 뒷글자를 합쳐서 금암리가 되었다.
금암리에는 충청북도문화재인 1545년 송정 전팽령이 건립한 양신정(養神亭)과 1765년 유림들에 의해 세워진 목담서원이 있다. 목담서원(鶩潭書院)과 목담서원에 모셔진 사서공 전식 선생의 영정, 명종 때 효자를 기리기 위한 효자정과 효자비, 그리고 그 효행을 뒷받침 하는 호천(虎泉) 등이 있다.
임진란 때 중봉 조헌선생을 도운 인봉 전승업선생은 개전초기에 중봉선생을 의병장으로 추대 의병 100명과 군수품을 모아 보은 차령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금산전투 후 연곤평에서 순절한 의병과 승병 1,000여명의 시신을 모아 오늘의 칠백의총을 만들고 중봉선생 유족을 돌보았다.
자연마을로는 압구정, 등나무마을, 새말, 솔밭말, 건너말, 용암말, 안골말, 황새골, 옥고대, 말참묵이가 있고 건너말은 빈집만 남아 있다. 용암말에 오필렬효자문과 청주한씨(淸州韓氏)효부비가 있다.
압구정은 고창오씨(高敞吳氏)가 입향조인 공조참의 오천(吳泉)공이 세종 16년(1434년)에 이곳에 터를 잡은 이래 20여대를 이어 살고 있다. 1978년 취락구조사업으로 적하리 분지벌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금암리로 집단이주 창앞마을을 이루었다.
압구정 뒤에 서당골이 있고 앞에는 갯들, 나마터, 씨드물, 돌가티, 부단지골, 막은골, 줄골이 있고 새마을 앞에서부터 대정목, 모새골, 샘골 그 앞에 새골이, 바위틈새골, 봇들, 못안이 있고, 둥구나무 마을 앞에 방아다리, 용암말 주변에 장나무골, 부흥산, 가는골, 서당골, 턱갈메기, 산지당, 탑선골, 당수말, 말래, 홍고개, 삼거리, 증갱이, 못안이 있다.
말참묵(말차목)이 앞에 수우골, 긴다랭이골, 탑송골, 부차골이 있다. 새말 주변에 줄골, 갯들, 강당, 봇들, 못안골, 찰방재, 새골, 샘골, 동자말, 새말 앞들이 있고 황새골, 못안, 섬말, 골말, 장수마루, 수골, 새터말, 뒷골, 삼거리, 찰방재가 있다.
'전설따라 삼천리 > 마을표지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내면 답양리마을자랑비(安內面 畓陽里마을자랑비) (0) | 2021.11.13 |
---|---|
옥천읍 귀화리 마을자랑비(沃川邑 貴花里 마을자랑비) (0) | 2021.11.04 |
군북면 막지마을 유래비(郡北面 莫只마을 由來碑) (0) | 2021.10.12 |
청성면 삼남마을자랑비 (0) | 2021.10.09 |
안남면 도농리 도농2리 표지석(安南面 道農里 道農2里 標識石)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