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화양구곡
- 선돌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밀양박씨
- 곡산연씨
- 문경새재
- 효자각
- 오블완
- 단지주혈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효자문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법주사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옥천읍 교동리느티나무(沃川邑 校洞里느티나무) 본문
옥천읍 교동리 313번지에 자리한 보호수인 느티나무이다
주위에 볼것으로는 옥천향교와 육영수생가등이 자리하고있다
동리에서 관리하고있다
금줄을 둘렀다 아마 동네에서 제를 올리는 듯 하다.
.......
교동리(校洞里)는 원래 읍내면(邑內面) 향교리(鄕校里)와 고수동리(高樹洞里)에 속해 있던 마을로, 후에 두 마을이 합하여 옥천읍(沃川邑) 교동리가 되어 현재에 이른다.
1739년의 기록을 보면 향교리에 23호, 고수동리에 26호가 살았다고 되어 있다. 1910년 행정구역 전면 조정 때 읍내면과 군남면이 합하여 군내면으로 되면서, 향교리와 고수동리를 합하여 교동리라 하였다.
교동리라 부르게 된 것은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지방의 영재를 기르기 위한 향교(鄕校)를 세웠기 때문이며, 처음에는 향교리라 부르다가 교동리라 하게 되었다. 향교 앞에는 조선시대 충신의 묘역이나 향교 앞에 세워 경건한 마음자세를 가지도록 했던 하마비가 세워져 있다.
자연마을로 교동, 섶바탱이(이곳이 원래 군북면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에 위치했으므로 나무지게(섶)를 지고 가다 한 번 쉬어간다(바탱이)는 설이 설득력이 있다), 고수골(구읍지역에서 저수지 쪽으로 올려다보면 높게 보이는 곳에 있기 때문에 고수골이라 했다는 설이 설득력 있다)이 있었으나 교동저수지가 축조되면서 고수골은 없어졌다. 또 수북리를 넘는 고개는 나부티재와 나부티샘이 예부터 유명했으며 2007년말 현재 140호 342명이 살고 있다.
교동리에는 또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으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았던 육영수 여사가 태어난 생가가 있으며 무너졌던 것을 2008년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육영수 여사 생가 복원사업은 본래 생가가 조선시대 3 정승이 살았던 집으로, 양반가옥 형태를 보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으며, 이에 따라 충청북도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복원사업이 추진되게 되었다.
교동리 뒤로는 옥천의 진산이라 불리는 마성산이 자리하고 있다. 해마다 정월대보름이면 옥천고을 전체의 안녕을 비는 마조제가 마성산을 바라보며 올려지는 것은 마성산이 옥천의 진산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마을에는 교동저수지가 있어 문정뜰에 농업용수를 대고 있으며, 저수지 입구 옥천어린이집 앞에는 조선시대 옥천군수를 비롯해 옥천을 거쳐 간 많은 관리들의 공적을 알리는 공적비와 송덕비 등이 세워져 있는 비석거리가 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옥천군(沃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천읍 금구리옥천경찰서삼층석탑(沃川邑 金龜里沃川警察署三層石塔) (0) | 2011.05.12 |
---|---|
옥천읍 금구리옥천경찰서부도(沃川邑 金龜里沃川警察署浮屠) (0) | 2011.05.12 |
옥천읍 서대리박세환효자각(沃川邑 書垈里朴世煥孝子閣) (0) | 2011.05.11 |
옥천읍 용암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沃川邑 龍巖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 (0) | 2011.05.11 |
옥천읍 교동리옥천향교(沃川邑 校洞里沃川鄕校) (0) | 201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