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효자각
- 부여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효자문
- 각연사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곡산연씨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사인암
- 보성오씨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선돌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오블완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광배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N91X/btssc9hIKL1/bB8mVmnuXBk64KJaxvIXw0/img.jpg)
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석조광배 입니다. 광배(光背)는 신성한 존재로서의 위대함과 초월성을 상징한다. 기본 형식은 머리의 두광(頭光), 몸에서 발산하는 신광(身光), 그리고 두광과 신광을 포함하여 몸 전체를 감싸는 거신광(擧身光) 또는 전신광(全身光)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불상[여래상]뿐만 아니라 명왕(明王), 보살, 나한[제자], 천인(天人) 등 불교의 여러 존상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며, 각종 문양을 추가하여 장엄하기도 한다. 불교에서 빛[광명]이 진리와 지혜의 상징이라는 생각은 부처의 몸에서 무한한 빛[무량광]이 나와 세상을 비추고 중생을 제도한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 『대지도론(大智度論)』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 따르면, 부처의 비범함을 나타내는 신체적 특징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Od8z/btssfRgzy3c/6Bag0YfwRPrn8HDUsioSNK/img.jpg)
춘천박물관 본관옆으로 "현묘의정원" 이라 칭하는 야외전시장에 석불과 석탑 그리고 여러 석조물들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광배도 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국립춘천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광배입니다. 야외전시장인 현묘의 정원에 있습니다. 광배(光背)는 신성한 존재로서의 위대함과 초월성을 상징한다. 기본 형식은 머리의 두광(頭光), 몸에서 발산하는 신광(身光), 그리고 두광과 신광을 포함하여 몸 전체를 감싸는 거신광(擧身光) 또는 전신광(全身光)으로 나눌 수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불상[여래상]뿐만 아니라 명왕(明王), 보살, 나한[제자], 천인(天人) 등 불교의 여러 존상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며, 각종 문양을 추가하여 장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