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효자문
- 법주사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충북나그네
- 문경새재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부도
- 단지주혈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각연사
- 경주김씨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곡산연씨
- 선돌
- Today
- Total
목록김창익효자문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평군 도안면 광덕리에 위치한 광덕리 석불입상을 오랫만에 둘러보고가까운 모산이라는 동네에 있는 김창익 효자정려문을 다녀왔습니다.이번에 방문을 하니 효자문의 단청도 새로 칠한것 같고 산뜻하니 좋습니다. 효자문을 보니 몇 년전 이맘 때쯤 일겁니다.당시 효자문을 방문 했을 때 나무밑에 앉아 쉬시던 동네아주머니 몇 분이서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고 있는 저에게 물어 보더군요. "창살 가운데 동그란 저것이 무어냐구요?" "홍살문에서 삼태극과 삼지창 이라고 부르는 장식입니다" 하고 대답을 하니 아주머니 한분이 고개를 갸우뚱 거리시며 자기들은 이제까지 토끼모양을 형상화 한줄 알았다고 합니다.짐짓 짐작가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왜 그런 생각을 하셨을까 하는 마음에 "왜 그렇게 생각을 하셨어요?" 하니 효자 정려비..
반중 조홍감이 고와도 보이나다. 유자이 아니라도 품음직 하다마는 품어 가 반길 이 없을새 글로 설워하나이다. 왕상의 잉어 잡고 맹종의 죽순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고 일생에 양지성효(養志誠孝)를 증자같이 하리이다. 만균을 늘려 내어 길게길게 노를 꼬아 구만리 장..
김창익(金昌翼) 효자각은 이곳에 낙향해 살던 김창익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서 도안면 광덕2리 경로당 앞의 큰 느티나무 옆에 위치해 있다.효자 김창익은“어머니의 머리에 종기가 생겨 위급하게 되자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입으로 어머니가 호흡할 수 있도록 돕고, 간호해 병환을 낫게 했다. 그러나 또 다시 병이 위태롭게 되자, 그는산토끼의 회를 먹어야만 나을 수 있다는의원의 말을 듣고, 다른 형제들과 여러곳으로 이것을 구하러 다녔으나 구하지 못하고 안타까워했다. 이때 하늘이 그의 효성에 감동했는지 장독대 근처에 산토끼 한 마리가 나타나서 도망을 가지않고 있기에, 이를 잡아 어머니에게 드리니 병이 나았다”고 한다.김창익의 집안과 이 일대의 선비들은 이러한 그의 효성을 후세에 기리기 위해 철종 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