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오블완
- 단지주혈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법주사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각연사
- 화양구곡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선돌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충주박물관
- 효자각
- 밀양박씨
- Today
- Total
목록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 (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용관동 삼층석탑입니다.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개설] 용관동 삼층석탑은 현재는 충주박물관으로 옮겨져 야외에 세워져 있지만, 원래는 충주시 용관동에 있었다. 용관동에서 민가를 신축할 때 출토된 석탑재를 옮겨왔다고 한다. 석탑이 심하게 훼손되어 기단부와 탑신부 일부 부재만 남아 있지만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 양식을 이어받은 고려시대 석탑이다. 파손된 부재들이 석탑 주변에 놓여 있다. [건립경위] 석탑이 원래 있었던 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다만 석탑은 사찰의 중요 신앙과 예배 활동의 대상으로 가장 중심에 배치되는 조형물이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용관동 삼층석탑도 용관동에 있었던 사..

유학사지 - 디지털충주문화대전 유학사지 - 디지털충주문화대전[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장성리 부연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개설] 장성리 부연마을에는 유학사(遊鶴寺)라 전하는 사찰의 터가 있는데, 여기에는 삼층석탑, 석조여래불상 등이 남아 있www.grandculture.net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유학사지 석불좌상입니다.머리는 결실되었으며 좌상의 후면에는 광배를 고정시키기위한 홈이 파여 있습니다.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며 장성리 유학사지에서 삼층석탑과 함께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건하였습니다.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자리하고 있는 유학사지 삼층석탑입니다. 충주박물관 유학사지삼층석탑(忠州博物館 遊鶴寺址三層石塔) 충주박물관 유학사지삼층석탑(忠州博物館 遊鶴寺址三層石塔)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고려 전기 삼층석탑.충주시 대소원면 장성리 부연에는 오래전부터 유학사지(遊鶴寺址)로 전해지는 사지가 있었다. 사지에는 한가운데 석king6113.tistory.com

충주박물관 하구암리석탑.(忠州博物館 下九岩里石塔) 충주박물관 하구암리석탑.(忠州博物館 下九岩里石塔)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석탑.원래 충주시 중앙탑면 하구암리 묘곡의 새마을창고 옆 장병만 가택 후원에 세워져 있던 것을 충주박물관으로 옮겨 세운 석king6113.tistory.com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하구암리 묘곡에 있던 석탑입니다.많은 부재들의 멸실로 인하여 온전한 모양을 갖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내사리 승탑입니다.살미면 내사리 폐사지에 있던 승탑으로서 석종형 승탑입니다.대석은 멸실되었으며 이 후에 후보 하였습니다.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자리하고 있는 하구암리 석불입니다.실내에 전시되어 있다가 야외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묘곡마을에 있었으며 파손부위를 접합하여 놓았습니다. 충주박물관 하구암리석불입상(忠州博物館 下九岩里石佛立像) 충주박물관 하구암리석불입상(忠州博物館 下九岩里石佛立像)충주박물관내에 실내에 있던 하구암리 석불이 야외전시장으로 자리를 잡았네요. 상호는 모두 민초들에게 돌려주고 시원한 강바람에 흐뭇하게 미소짓는것 같습니다. 하구암리 석불입상은 고려king611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