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보성오씨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단지주혈
- 사인암
- 법주사
- 상당산성
- 화양동 암각자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효자각
- 청주박물관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곡산연씨
- 부도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공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경주김씨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충주의 석불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전기 석조 보살좌상. [개설] 성불사 석불좌상은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의 성불사에 있던 불상으로 현재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실로 이전, 전시되고 있다. 불정면은 행정구역상 괴산군에 속하지만 옛 충주에 속했던 지역이다. [형태] 높이 98㎝인 성불사 석불좌상은 전면에 덧칠을 하고 손목 이하 부분은 시멘트로 보수하였기 때문에 원형이 크게 훼손되었으나 원래의 모습은 짐작할 수 있다. 머리는 큰 편으로 원통형 보관을 썼으며 이목구비는 마멸이 심하여 어렴풋이 보일 뿐이지만, 코는 작게 표현하였고 입술은 굳게 다물고 있다. 어깨는 당당하고 목에 장신구를 표현하고 있다. 법의는 편단우견으로 도식화된 평행 사선이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으로 흘러..

충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신만리 석불입상입니다.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탄방마을에서 발견된 머리가 결실된 석불입상입니다.통일신라말과 고려초 사이의 작품이라고 합니다. 머리만 결실되었을 뿐 다른부분들은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좌측면으로는 쐐기흔적이 보입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지역에는 수주리, 월은리, 문박리, 팔봉리가 있었다. 이 중 문박과 수주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문주리 (文周里)라는 명칭이 처음 만들어졌다. 문주리에 대한 기록은 1760년에 발행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처음 나온다. 당시 유등면은 주음성리, 산정리, 팔봉리로 이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팔봉리가 현재의 문주리이다. 1898년에 나온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현재 문주리의 행정리를 이루는 팔봉, 수주, 월은이 나온다. 1912년에 나온 『구한국 지방행정구역 명칭일람』에 보면 팔봉, 수주, 문박, 월은이 나온다. 1914년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이들 네 개 마을이 합쳐져 문주리가 처음 생겨났다. 그리고 유등면이 이안면과 합쳐지면서 문주리가 이류면[현 대소원면]에..
충주시 앙성면에 위치하고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입니다. 석뷸입상까지 쇄석을 이용해 도로룰 만들어 놓았다.나름대로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흔적이 남아있다.강천리 석조여래입상이라는 간판이 서있다. 몇번이고 발길을 한 곳이지만 갈때마다 새로움은 어린 내 마음탓인가? 충주 강천리 석불입상은 불신이 네모난 평판석에 가까우며 옷주름의 조각이 소략한 상이다. 머리는 소발이며 오른쪽이 훼손되었으나 낮은 육계가 보인다. 미간에는 백호가 표현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얼굴은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모습을 알 수 없으나, 둥근 눈과 작은 코를 볼 수 있다. 귀는 짧게 표현하였고 목은 시멘트로 보강하였다. 목에는 떨어진 불두를 보강하면서 철심을 박았다고 한다. 찾아오는 사람은 많은데 석불입상은 변한게 없다며 한탄하시던 동네 할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