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주박물관 신만리부도재(忠州博物館 新萬里浮屠材) 본문

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충주박물관 신만리부도재(忠州博物館 新萬里浮屠材)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1. 9. 25. 08:44

 

 

 

 

 

 

 

 

 

 


  • [정의]
  •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 충주박물관에 있는 고려 후기 부도.

  • [개설]
  • 억정사지(億政寺址)신만리 작은 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고려시대 규모가 컸던 사찰로 전하고 있다.

    또한 우왕, 공양왕 등 여러 국왕들로부터 존경받은 대지국사(大智國師) 찬영(粲英)[1328~1390]이 하산한 사찰이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도 건국 직전 입적한 대지국사 찬영을 크게 신봉하였다.

    태조조선 건국 직후 대지국사의 덕행을 추모하여 시호와 탑호를 내리고, 비문을 찬술하게도 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억정사는 적어도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까지 대찰의 규모를 유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만리 부도재는 억정사지로부터 다소 떨어진 족동마을 뒤편으로 형성된 능선에 있었다고 한다.

    원래 하대석이 파손되어 있었고, 옥개석은 반쯤 매몰되어 있었다고 한다.

    탑신석은 마을 앞 작은 하천 바닥에 묻힌 채로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오래전에 도굴되었으며, 반출을 하려다가 못한 것으로도 보인다.

    이후 석조 부도재들은 충주박물관으로 옮겨져 야외에 세워져 있다. 또한 이곳에서 옮겨온 것으로 전하는 석관도 함께 남아 있다.

  • [건립경위]
  • 억정사는 고려 말기 주요하게 활약한 대지국사 찬영의 하산소(下山所)였다.

    고려시대에는 왕사나 국사를 역임하였던 고승들의 경우 말년이 되면 주로 지방에 소재한 사찰로 하산소를 정하여 내려갔다.

    대부분 하산소에서 입적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산소에 석조부도와 탑비가 건립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현재 이 석조 부도재의 주인공을 분명하게 알 수는 없지만, 억정사 대지국사 탑비문의 기록과 고려시대 석조 부도와 탑비 건립 경향으로 보아

    대지국사 찬영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탑비와 석조부도가 다소 떨어져 있었다는 점이 의문점으로 남는다.

    주인공이 대지국사 찬영이 맞는다면 이 석조 부도재는 대지국사 찬영의 입적 직후 건립되었으며, 묘탑적 기념물로 추모와 명복을 빌고자 건립되었을 것이다.

  • [위치]
  • 신만리 부도재는 원래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족동마을 인근에 흩어져 있었다.

    현재는 충청북도 충주시 가금면 탑평리에 건립된 충주박물관 본관 앞뜰에 옮겨져 세워져 있다.

  • [형태]
  • 신만리 부도재는 현재 석관(石棺), 하대석과 상대석, 탑신석, 옥개석이 남아 있다. 하대석은 평면이 사각형으로 면석부에 별다른 문양은 없으며,

    상면에 평면 원형으로 호형(弧形)의 1단 괴임(지름 159㎝)을 마련하였다. 그 위에 다시 직경이 작은 원형 괴임대를 마련하였다.

    이와 같이 원형 괴임대가 마련된 것으로 보아 중대석은 평면이 원형인 원구형석(圓球型石) 형태가 결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상대석은 파손이 심하지만 평면 팔각형 부재였음을 알 수 있다. 상대석 상면에는 팔각의 탑신괴임이 마련되었다.

    탑신석은 평면 팔각형으로 별다른 문양은 표현되지 않았다. 옥개석은 하부에 각형 2단의 받침을 두고,

    처마선을 따라 1조의 음각선(陰刻線)을 팔각으로 돌려 낙수홈을 마련하였다.

    처마부는 살짝 들어 올려 경쾌한 수법을 보이고 있으며, 지붕 낙수면은 유려한 곡선형을 이루고 있다.

    합각부는 높게 돋을새김하여 평면 사각 형태로 내림마루를 표현하였다.

    마루 끝부분에는 조선 초기 석조 부도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는 용두형(龍頭形) 장식과 같이 별도의 장식을 하였던 흔적이 남아 있다.

    이러한 치석 수법은 회암사 무학대사 홍융탑이나 청룡사 보각국사 정혜원융탑의 마루부 장식과 친연성을 보이고 있다.

    신만리 석조부도의 지대석은 고려 말기 성행하기 시작하는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이나 사나사 원증국사 석종과 같이 석종형 부도의 대석과 상통하고 있다.

    탑신부의 평면이 팔각인 것으로 보아 이 석조부도는 전체적으로 팔각당형을 유지하면서,

    고려 말기에 건립된 석조 부도에서 부분적으로 변형된 평면이 적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옥개석 마루 끝부분 치석과 장식 수법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초기 건립된 석조물에서 많이 나타난다.

  • [금석문]
  • 엄정면 억정사지대지국사 찬영의 탑비가 남아 있어 살아생전 대지국사 찬영의 구체적인 행적, 입적 직후 장례 절차와 석조 부도의 건립,

    시호와 탑호, 탑비의 건립된 관련된 사실들을 알 수 있다.

  • [현황]
  • 신만리 부도재는 일부 부재가 결실되고 파손되기는 했지만, 정연한 치석과 결구 수법으로 건립되었다.

    현재 신만리 부도재의 지하에 매장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석관, 하대석과 탑신부가 남아 있다.

  • [의의와 평가]
  • 석조 부도는 기단부의 중대석을 비롯하여 일부 부재가 결실되기는 했지만, 전형적인 팔각당형 양식으로 건립되었다.

    따라서 신라시대 이래 성립된 전형적인 양식이 여전히 계승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하대석과 상대석의 양식으로 보아 이전의 양식과는 부분적으로 새로운 치석과 결구 수법이 적용되었음도 보여주고 있다.

    탑비문의 기록에 따르면 대지국사의 석조부도는 1390년 후반경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탑비는 조선 건국 직후인 1393년 10월에 건립되었다.

    이러한 것으로 보아 이 석조 부도는 고려 말과 조선 초기의 과도기적 양식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주인공을 분명하게 알 수는 없지만 주인공을 추정할 만한 단서로 억정사지대지국사 탑비가 남아 있어,

    향후 사지 일대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주목할 만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