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청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사인암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선돌
- 부여박물관
- 부도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화양동 암각자
- 경주김씨
- 충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오블완
- 법주사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미륵보살반가사유 비상(淸州博物館 彌勒菩薩半跏思惟 碑像) 본문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68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41cm, 너비 아래 15.5cm, 위 21.3cm, 두께 아래 11cm, 위 7.1cm이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燕岐郡) 비암사(碑岩寺)에서 발견된 석상으로, 옥개(屋蓋)와 대좌(臺座)가 1석(石)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뒷면은 T자형이고, 그 옆면은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앞면 중앙에는 1구의 보살좌상(菩薩坐像)이 가득히 새겨져 있다.
보관(寶冠)·목걸이·두광(頭光) 등이 새겨져 있으며, 두 팔에는 천의(天衣)가 길게 드리워져 있다. 머리 위에는 천개(天蓋)가 있고, 그 위에 보주(寶珠)와 영락(瓔珞)이 장식되었다. 아랫면은 직사각형이고 그 중앙에 둥근 꽃병이 있으며 그 좌우에는 꿇어앉은 인물상이 있다. 위에는 나뭇잎이 뒤덮인 지붕이 있고, 가늘고 긴 두리기둥의 기둥머리와 중간에는 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옆면 좌우에는 머리 정면에 보탑(寶塔)이 있고, 두 손을 가슴에 대고 둥근 보주를 든 보살상이 연화좌(蓮花座) 위에 서 있고 아랫면에는 꿇어앉은 공양상이 있다. 뒷면에는 1기의 보탑(寶塔)이 가득히 새겨져 있는데, 이 탑은 두판의 기단(基壇)에 탑신(塔身)을 올려놓았으며, 그 위에 평판(平板)을 놓고 상륜(相輪)을 꽂았다.
이러한 탑형(塔型)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추정되며, 탑을 뒷면에 새긴 것은 앞면에 새겨진 주존상(主尊像)과의 관계에서 그 존명(尊名)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석상의 조성 연대는 그 조각 수법으로 보아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三尊石像:국보 106)과 같은 673년으로 추정된다. 백제가 멸망하고 오래지 않은 시기에 조성된 석상이므로 백제의 석조미술을 보여 주는 사료(史料)가 된다.
1960년 충청남도 연기군(燕岐郡) 비암사(碑岩寺)에서 발견된 석상으로, 옥개(屋蓋)와 대좌(臺座)가 1석(石)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뒷면은 T자형이고, 그 옆면은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앞면 중앙에는 1구의 보살좌상(菩薩坐像)이 가득히 새겨져 있다.
보관(寶冠)·목걸이·두광(頭光) 등이 새겨져 있으며, 두 팔에는 천의(天衣)가 길게 드리워져 있다. 머리 위에는 천개(天蓋)가 있고, 그 위에 보주(寶珠)와 영락(瓔珞)이 장식되었다. 아랫면은 직사각형이고 그 중앙에 둥근 꽃병이 있으며 그 좌우에는 꿇어앉은 인물상이 있다. 위에는 나뭇잎이 뒤덮인 지붕이 있고, 가늘고 긴 두리기둥의 기둥머리와 중간에는 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옆면 좌우에는 머리 정면에 보탑(寶塔)이 있고, 두 손을 가슴에 대고 둥근 보주를 든 보살상이 연화좌(蓮花座) 위에 서 있고 아랫면에는 꿇어앉은 공양상이 있다. 뒷면에는 1기의 보탑(寶塔)이 가득히 새겨져 있는데, 이 탑은 두판의 기단(基壇)에 탑신(塔身)을 올려놓았으며, 그 위에 평판(平板)을 놓고 상륜(相輪)을 꽂았다.
이러한 탑형(塔型)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추정되며, 탑을 뒷면에 새긴 것은 앞면에 새겨진 주존상(主尊像)과의 관계에서 그 존명(尊名)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석상의 조성 연대는 그 조각 수법으로 보아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三尊石像:국보 106)과 같은 673년으로 추정된다. 백제가 멸망하고 오래지 않은 시기에 조성된 석상이므로 백제의 석조미술을 보여 주는 사료(史料)가 된다.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박물관 정양 진천현감 교지(淸州博物館 鄭瀁 鎭川縣監 敎旨) (0) | 2012.08.30 |
---|---|
청주박물관 정천영춘현감교지(淸州博物館 鄭洊永春縣監敎旨) (0) | 2012.08.29 |
청주박물관 청동탁잔,주자(淸州博物館 靑銅托盞,注子) (0) | 2012.08.25 |
청주박물관 부처와보살상 (0) | 2012.08.22 |
청주박물관 석조좌불신(淸州博物館 石造坐佛身) (0) | 201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