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기축명아미타불비상(淸州博物館 己丑銘阿彌陀佛碑像) 본문

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청주박물관 기축명아미타불비상(淸州博物館 己丑銘阿彌陀佛碑像)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2. 9. 1. 20:17

 

 

 

 

 

 

 

 

 

 

  • [정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국립청주박물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 불상.

  • [개설]
  •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다방리 비암사에서 발견 된 3점의 비상(碑像) 가운데 하나이다. 현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87번지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형태]
  • 높이 57.5㎝, 두께 8.5㎝ 크기의 이 석상은 주형(舟形) 광배(光背)와 같은 형태의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석상이 비암사에서 함께 발견된 2개 석상과 다른 점은 돌의 두께가 위로 올라갈수록 얇아지면서 곡면을 이룬 것이다. 또한 돌 전면에 보살 군상을 가득히 새겼는데 다른 것보다도 도상적(圖像的)인 모습을 지니어 1폭의 변상(變相)을 대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마치 아미타경(阿彌陀經)에 보이는 극락 세계의 장면을 그대로 돌 위에 부각시킨 것과 같다.

    하단에는 홑잎의 연화좌가 돌려 있고 그 위에 난간과 보계(步階)가 만들어졌으며, 다시 그 위에는 연못이 있어 파상문(波狀文)으로 수면을 표현하였다. 난간 좌우에는 사자가 상대하고 있으며 보계의 좌우에는 연꽃 위에서 합장하는 화생(化生)을 새겼다. 바로 이 연못 중앙에서 큰 연꽃이 솟아났고 그 곳에서 갈라진 연화좌의 중앙에는 본존(本尊)이 앉았으며, 좌우에는 직립한 여러 불상이 나열하고 있어 엄격한 좌우 대칭의 수법을 따르고 있다.

    중앙의 좌상은 유달리 크게 새겨졌는데 통견의(通肩衣)이며 육계가 있고 오른손은 또렷하지 않으나 왼손은 만(卍)자를 새긴 가슴 아래에 들고 있다. 본존 좌우의 보살상은 긴 몸에 본존과 같은 둥근 두광(頭光)을 가졌으며 보관과 장엄구를 세각(細刻)하였다.

    그리고 이들 보살과 본존 사이에는 나한상(羅漢像)이 상반신만이 표현되었다. 보살상 옆으로는 야차상(夜叉像) 각 1구가 한 손을 들어서 천궁(天宮)을 받들었으며, 다시 그 옆에는 인왕상(仁王像)을 새겼는데, 그 양식은 비암사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과 유사하다.

    이들 불보살상 윗면에는 화불(化佛) 5구가 반원형으로 연화좌에 앉았으며 다시 그 위로는 가장자리를 따라 화불보다도 큰 좌상 7구를 배치하였다. 이 같은 작은 불상 사이에는 큰 나무의 가지와 잎이 표현되었으며, 그를 덮고 주옥(珠玉)과 영락(瓔珞)이 사이사이에 세각되어서 장관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배면(背面)에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 [특징]
  • 기축명아미타여래제불보살석상(己丑銘阿彌陀如來諸佛菩薩石像)은 배 모양의 돌에 불상을 조각한 것으로 비석 형태를 하고 있다. 석재는 암적갈색의 연질납석을 사용하였으며 본존(本尊)이 아미타불인 것이 특징이다. 배면에는 넉 줄의 명문이 남아 있다. 이 명문의 내용 중 기축년이라는 글귀를 통해 689년(신문왕 9)에 제작된 석상임을 추측할 수 있다. 명문 전체 내용은 다음과 같다.

    “己丑年二月十五日”(기축년이월십오일)

    “此爲七世父母及□□□□□”(차위칠세부모급□□□□□)

    “阿彌陀佛諸佛菩薩像”(아미타불제불보살상)

    “敬造”(경조)

  • [의의와 평가]
  • 삼국시대 불상 요소와 새로 들어온 나라의 불상 요소가 혼합된 형태로 통일신라초기 불상양식의 좋은 예가 되고 있다. 특히 본존불이 아미타불인 점에서 볼 때 당시 불교 신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67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