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공산성 선정비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법주사
- 단지주혈
- 화양동 암각자
- 상당산성
- 효자문
- 곡산연씨
- 선돌
- 사과과수원
- 충주박물관
- 효자각
- 부도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보성오씨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문경새재
- 공주박물관
Archives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사뇌사동종(淸州博物館 思惱寺銅鐘) 본문
1993년에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사뇌사지(思惱寺址)에서 발굴되어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총 400여 점의 유물이 발굴되었으며, 불교 공예품과 생활용품 등의 금속공예품이 주류를 이룬다.
불교 의식에 사용된 공예품은 의식구와 공양구, 장엄구로 구분된다. 의식구는 범종(梵鐘), 반자(飯子), 경자(磬子), 금강령(金剛鈴) 등이 있고, 공양구는 향로, 수병(水甁), 광구병(廣口甁), 주전자, 청동대호, 촛대, 초두(鐎斗), 잔탁(盞托), 발우(鉢盂), 청동합 등이 있다. 장엄구로는 금동광배 조각, 자물쇠, 풍탁(風鐸) 등이 있다. 생활 용구로는 동접시, 청동 소호·수반·대접·발·숟가락·국자·시루와 철제 항아리·가마솥, 맷돌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물고기 모양의 탁설(鐸舌)이 달린 금강령, 뚜껑이 덮인 향로인 합향(合香), 기름을 재는 용기인 유두(油斗) 등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발굴된 유물들은 고려시대 전반에 걸친 불교문화와 금속공예의 발전상을 나타낸다.
위의 동종은 그때 발굴된 동종의 하나이다.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박물관 고소장(淸州博物館 告訴狀) (0) | 2013.08.31 |
---|---|
청주박물관 오륜행실도(淸州博物館 五倫行實圖) (0) | 2013.08.30 |
청주박물관 사례편람(淸州博物館 四禮便覽) (0) | 2013.08.28 |
청주박물관 목제인형(淸州博物館 木製人形) (0) | 2013.08.27 |
청주박물관 호구단자(淸州博物館 戶口單子) (0) | 201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