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외사리 당간지주
- 보성오씨
- 선돌
- 효자문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공산성 선정비
- 밀양박씨
- 법주사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사인암
- 문의문화재단지
- 한독의약박물관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화양구곡
- 현충시설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남이면 구미리 문석인(南二面 九尾里 文石人) 본문
남이면 구미리 마을초입에 자리하고 있는 문석인이다.
문석인은 구미리 마을표지석과 거북바위와 함께 나란히 자리잡고 있다.
어떤이의 무덤을 지키다 이 곳으로 온것일까?
구미평 마을입구에서 오고가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안녕을 빌고 있는것 같다.
중국의 진(秦)·한(漢)시대에 비롯하여, 한국에서는 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만들었다. 석인에는 문신의 형상을 한 문석인(文石人)과 무신의 형상을 한 무석인(武石人)이 있으며, 줄여서 문석·무석이라고도 한다.
석인은 방향과 시간을 맡아서 능을 보호하는 수면인신상(獸面人身像)인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과 함께 능묘를 수호하는 조각이다. 석인의 배치는 묘 입구 전면에 석사자(石獅子) 좌우 1쌍, 문석인 좌우 1쌍, 무석인 좌우 1쌍, 다음에 팔각석주(八角石柱)를 세운다.
문인석
신라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형태가 많이 변했으나, 대체적으로 문석인의 형상은 포(袍)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를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이다. 얼굴은 둥글지만 상하로 약간 긴 달걀형이고, 눈은 이른바 행인형(杏仁形)이며, 눈끝은 약간 위로 올라갔다. 큼직한 코 밑에 있는 입술은 가늘고, 힘있게 다문 입 양끝은 아래를 향한다.
코 밑과 턱에 긴 수염을 선각(線刻)으로 나타냈고 턱의 수염은 턱밑으로 뻗어 홀 뒤에 숨었다. 관(冠)의 하부에서 턱 밑까지의 길이와 그 밑 신장의 비율은 1:5~1:3의 변화를 보이며, 이러한 문인석은 특히 문무왕릉(文武王陵)·경덕왕릉(景德王陵) 등 많은 고분이 있는 경주 일대와 조선 고종의 홍릉(洪陵), 순종의 유릉(裕陵) 등 서울 주변의 능에서 볼 수 있다.
무인석
시대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그 형상은 갑옷과 투구로 완전 무장하였으며, 얼굴은 크고 둥글다. 두 눈은 매섭거나 문석인보다 더 크게 뜨고 있으며, 문석인과는 달리 수염이 없고 뺨과 턱과 다리의 굴곡이 대담하며, 입은 입술이 두껍고 굳게 다물고 있어 강건한 무사상을 나타낸다.
허리에는 띠[帶]를 두르고 중앙부에는 귀면(鬼面)이 달려 있다. 칼은 칼집에 넣은 채 허리에 차고 있거나, 칼을 뽑아 두 손으로 지팡이처럼 잡고 있는 점이 문석인과 다르다. 무석인은 대부분의 왕릉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석인 [石人] (두산백과, 두산백과)
'통합청주시 > 서원구(西原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이면 구미리 효열부전여사기적비(南二面 九尾里 孝烈婦全女史記蹟碑) (0) | 2014.02.01 |
---|---|
남이면 구미리 돌탑(南二面 九尾里 돌탑) (0) | 2014.01.31 |
남이면 구미리 거북바위(南二面 九尾里 거북바위) (0) | 2014.01.29 |
현도면 죽전리 군수서병익애민선정비(賢都面 竹田里 郡守徐丙益愛民善政碑) (0) | 2014.01.21 |
현도면 죽전리 오위장홍재관시혜비(賢都面 竹田里 五衛將洪在寬施惠碑) (0) | 2014.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