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가덕면 인차리 서낭당(加德面 仁次里 서낭당) 본문

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가덕면 인차리 서낭당(加德面 仁次里 서낭당)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5. 1. 18. 15:12

 

가덕면 인차리 구봉영당 입구에 자리하고 있는 서낭당이다. 오래된 고목에 새끼줄을 둘렀으며 작은 돌탑이 쌓여져 있다.

민초들의 바램을 온몸으로 느끼며 작은 돌하나에 담은 바램은 오랜세월이 흘러 지금은 스산한 바람만 가득하다.

서낭당은 예전의 구봉영당 오르는 길에 위치하고 있다. 새로 신축된 구봉영당은 20여미터 아래에 새로 신축하였다.

 

새끼줄을 둘른 모양으로 보아 가까운 시절에도 사람들의 왕래가 있었던 듯 하다.

 

 

 

 

 

마을 어귀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 놓은 돌무더기 형태로, 그 곁에는 보통 신목()으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이 세워져 있기도 하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위에 돌 세 개를 얹고 세 번 절을 한 다음 침을 세 번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속신이 있다.

서낭당은 서낭신을 모신 신역으로서 신앙의 장소이다. 이곳을 내왕하는 사람들은 돌·나무·오색 천 등 무엇이든지 놓고 지나다녔다. 물론, 그곳의 물건을 함부로 파거나 헐지 않는 금기가 지켜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서낭이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또는 석전()에 대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설도 있으나, 민간에서의 서낭은 종교적 의미가 농후하다.

우리 나라에 서낭신앙이 전래된 것은 고려 문종 때 신성진()에 성황사()를 둔 것이 서낭의 시초라 한다. 그 뒤 고려에서는 각 주부현()마다 서낭을 두고 이를 극진히 위하였는데, 특히 전주서낭이 유명하였다. 고려 고종은 침입한 몽고병을 물리치게 된 것이 서낭신의 도움 때문이라 하여 서낭신에게 신호를 가봉하였던 일도 있었다.

수호신으로서의 서낭은 조선시대도 널리 신앙되었다. 조선시대의 서낭은 국행()서낭과 민간에서의 서낭으로 나누어진다. 국행서낭은 호국()이라는 두 글자를 붙였다.

이성계()는 즉위 후 여러 산천의 서낭을 제사하였으며, 태종은 백악()서낭과 송악()서낭을 신도()서낭으로 모셨다. 그 밖의 조선시대의 이름난 서낭으로는 해주·괴산·현풍·양산·신성()·밀양·전주·고성 서낭 등이 있었다.

이러한 서낭에서는 정기적인 제사뿐만 아니라, 국난이나 가뭄이 있을 때 서낭제를 거행하여 국태민안()을 기하려 하였다.

서낭당의 형태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서낭나무에 잡석을 난적()한 누석단이 있고, 이 신수에 백지나 청·홍·백·황·녹색 등의 오색 비단 헝겊을 잡아맨 형태, ② 잡석을 난적한 누석단 형태, ③ 서낭나무에 백지나 5색 비단 헝겊 조각을 잡아맨 형태, ④ 서낭나무와 당집이 함께 있는 형태, ⑤ 입석() 형태 등이다.

이 다섯 가지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이 ①의 형태이며, ②의 형태는 ① 형태의 서낭나무가 퇴화되거나 길 옆에 누석단이 먼저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다. ③의 형태는 수목신앙()에 후기적으로 서낭나무에 오색 비단 헝겊을 잡아매는 헌남속()이 복합되거나 또는 처음부터 서낭당의 신수 헌납속만 강조된 형태로 볼 수 있다.

⑤의 형태는 높이 120∼200㎝ 안팎, 폭 90∼120㎝ 가량의 자연석을 세워놓고 ‘수구매기(막이)’·‘돌서낭’·‘선돌’ 등으로 부르는데, 이것은 중부, 남부 지역에서 간간이 발견된다. 신수에 당집이 복합된 ④의 형태는 중부 내륙 산간지역과 태백산백 동쪽의 영동지역에 분포되어 있다.서낭당 [─堂]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