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용담사 석불입상(龍潭寺 石佛立像)..충주신니면 본문

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용담사 석불입상(龍潭寺 石佛立像)..충주신니면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0. 4. 21. 22:01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문숭리 용담사 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입상.

[개설]
송암리 불상’ 또는 ‘선당리 석불’ 등으로 불려왔으나 1978년 12월 지금의 용담사 로 옮겨져 관리되고 있어, 이후로는 ‘용담사 석불입상’으로 명칭이 통일되어야 할 것이다. 이 불상은 일제 말기 신덕저수지 제방공사 때 하천에서 발굴되었던 것을 인부들이 저수지 아래 선당리에 옮겨 세워 불당을 조성하고 보호해왔다. 그래서 선당리 석불로 불려왔다.

1977년 4월 송암리 팔송 밭에서 연화대좌(족좌)가 발견되어 불상과 함께 용담사 로 이전했다. 불상의 원래 위치에 관해서는 더욱 조사되어야 하겠으나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충주 숭선사의 당간지주 한 족이 저수지 공사에 사용되었다 하고, 간은 사지에서 ‘대정 22년’이란 명문와가 출토된 바 있어 이 간지로 보면 고려 명종 12년이므로 이 불상의 양식적인 면도 거의 이 시기에 해당된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이 불상 역시 숭선사에서 반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형태]
용담사 석불입상의 불상대좌는 직경 1m, 높이 0.7m의 원통형으로서 하단부에는 앙련이 단판으로 조각되었고, 대좌 중간의 전면에 양발(양족)을 직립시켰으며, 의문이 연화좌에까지 흘렀다. 저수지를 사이에 두고 불신과 대좌가 따로 있었던 것을 시멘트로 보합하여 지금 위치로 이전했던 것이다.

이 불상은 소발 두정 위로 보개를 받치기 위한 테를 양가함으로써 마치 머리띠를 한 것처럼 보인다. 원래 있었을 보개는 결실되고, 최근에 용담사 에서 방형보개를 새로 만들어 얹었다. 얼굴은 전면에 약간의 미소를 띤 듯하면서도 어색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턱 아래로 이중턱을 표현했으며, 이마에는 백호공이 있고, 양 귀는 길게 늘어져 어깨에 닿았으며, 목에는 삼도의 흔적이 또렷하다.

얼굴에는 살이 올라 풍만한데 눈썹은 반원형이고, 눈은 반개했으며, 콧등과 입술 등이 둥그렇게 표현되었다. 얼굴에 비해 어깨 폭은 위축된 형상이다. 법의는 통견으로 가슴 앞에 올려놓은 오른손의 손목을 덮었으며, 왼손에 걸쳐진 의문은 U자형으로 길게 흘러 무릎에까지 내렸다. 의문은 몸체의 측면을 돌아서 배면에까지 장식되었다. 수인은 대체로 이웃에 있는 중원 원평리 미륵석불과 유사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신체표현이 현저히 약식화되어 수직형으로 내렸다.
 

 

                                                                                       [원평리 미륵석불]

[특징]
어깨가 움츠려들었으며 얼굴에 비하여 몸체의 비례가 잘 맞지 않는 등 고려시대의 불상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시대 충주 지역의 불상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충주문화대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