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효자각
- 각연사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경주김씨
- 단지주혈
- 부도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선돌
- 효자문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국립청주박물관
- 문경새재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교현동 이식청덕선정비(校峴洞 李植淸德善政碑) 본문
충주시 교현동에 위치한 충주향교입구 우측 비석군중에 비석을 바라보며 가장 좌측에 있는 비석이다.비석의 전면에는 행목사이공식청덕선정비(行牧使李公植淸德善政碑)라고 음기되여 있다.
이식(李植)은 조선 중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고(汝固), 호는 택당(澤堂)·남궁외사(南宮外史)·택구거사(澤崑居士).고조할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이고, 아버지는 좌찬성을 지낸 이안성(李安性)이다.1609년(광해군 1) 생원이 되고, 다음 해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613년(광해군 5) 설서(設書)를 거쳐, 1616년(광해군 8) 폐모론(廢母論)이 있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학문에만 전념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기용되어 이조좌랑이 되고, 1624년(인조 2) 부수찬·응교·사간·집의를 거쳐, 이듬해 대사간·대사성·좌부승지 등을 역임했다. 1631년(인조 9) 다시 대사간이 되었다가 사친(私親)의 추숭(追崇)이 고례(古禮)가 아님을 논하다 좌천되어 간성현감에 이어 충주목사가 되었다. 1633년(인조 11) 부제학을 거쳐, 1638년(인조 16) 대제학·예조참판을 지냈다.1642년(인조 20)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한다고 하여 청나라 심양에 잡혀갔다가 돌아올 때 다시 의주에서 구치되었으나 탈출하여 돌아왔다. 1643년(인조 21) 원손보양관(元孫輔養官)이 되고, 이후 대사헌과 형조판서·이조판서·예조판서를 역임했다. 1646년(인조 24) 별시관으로서 출제한 시제에 역의(逆意)가 있다고 하여 관직이 삭탈되었다.이식은 『성리대전(性理大全)』과 『주자어류(朱子語類)』를 중심으로 학문을 하였는데, 제자백가와 예학에도 밝았다. 당대의 학자로서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한문학에 정통하여 이정구(李廷龜)·신흠(申欽)·장유(張維)와 더불어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저서로 『택당집(澤堂集)』, 『초학자훈집증집(初學字訓集增輯)』, 『두시비해(杜詩批解)』 등이 있으며, 『수성지(水城誌)』, 『야사초본(野史初本)』 등을 편찬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1686년(숙종 12)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경기도 여주의 기천서원(沂川書院)에서 제향되고 있다.
충주목사로 재직시 선정을 베풀어 충청북도 충주시 교현동 향교 앞에 선정비가 세워졌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중원의 향기 > 충주시(忠州市)'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현동 이희창기념비(校峴洞 李羲昌紀念碑) (0) | 2016.02.05 |
---|---|
교현동 전석영영세불망비(校峴洞 全錫泳永世不忘碑) (0) | 2016.02.04 |
충주의 상징 사과탑 (0) | 2016.01.24 |
지현동 안병임선생흉상(芝現洞 安秉任先生胸像) (0) | 2016.01.22 |
엄정면 괴동리 추원사(嚴政面 槐東里 追遠祠) (0) | 2016.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