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공산성 선정비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선돌
- 부도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단지주혈
- 사인암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효자각
- 각연사
- 화양구곡
- 티스토리챌린지
- 국립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가덕면 삼항리 선돌(加德面 三項里 선돌) 본문
행정리에서 삼항리로 너머가는 고갯길에 자리하고 있는 삼항리 입석이다.
삼항리 선돌은 지금도 동네주민들의 신앙대상이 되고 있는지 금줄과 소지를 두르고 있다.
선돌옆에 있는 노목과 길건너 있는 노목까지 새끼줄로 만든 금줄을 두르고 있다.선돌옆에는 예전 조선조 문의현령을 지낸 현령공덕비가 2기 자리하고있다.
선돌은 길쭉한 자연석 또는 일부만을 가공한 기둥모양의 돌을 땅 위에 하나 또는 몇 개를 똑바로 세워 기념물 또는 신앙대상물 등으로 삼은 선사시대의 거석기념물이다. 우리나라에서 선돌은 고인돌에 비해서는 매우 적은 숫자에 지나지 않지만 그 분포 범위는 거의 반도 전역에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렇듯 넓은 분포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구조와 대부분 단독으로 세워지는 유적으로서의 취약성 때문에 이에 대한 학술적인 발굴조사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도 선돌은 자연석을 그대로 세우거나 극히 일부만을 치석해 세운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드물게는 원래부터 있던 거석을 선돌로 삼는 경우도 있다. 기능에 있어서는 대체로 선돌에 얽힌 전설이나 신앙이 주를 이루며, 예배의 대상물로서의 성격이 본질을 이루고 있다. 그 까닭은 선돌 자체가 가지는 외형적 특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뚝 솟은 모습에 따라 사람들에게 외경감을 불러일으킨다든가, 그 형태가 흡사 남성의 성기와 비슷해 생식기숭배같은 원시신앙과 결부되기도 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입석에 대한 외경 또는 예배, 기원(祈願)의 대상으로서의 성격은 원시사회에서 이루어진 정령숭배(精靈崇拜)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기념물 또는 신앙대상물로서의 입석은 처음 세워진 후 오랜 세월동안 기능을 유지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근세에 이르러서 여기에 각자(刻字)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볏집이나 새끼로 묶는 등 의인화(擬人化) 또는 신격화시켜 마을의 수호신,
기자암(祈子巖)같은 역할을 담당해왔다.
선돌은 대부분 단독으로 마을 어귀같은 평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고 간혹 낮은 구릉 위나 비탈에 세워지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고인돌과 바로 인접되어 있는 곳도 있다.
'통합청주시 > 상당구(上黨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의면 두모리 서병익 청간선정비(文義面 斗毛里 徐丙益 淸簡善政碑) (0) | 2016.04.12 |
---|---|
남일면 두산리 김원근구제기념비(南一面 斗山里 金元根 救濟記念碑) (0) | 2016.04.04 |
미원면 옥화리 윤승임신도비(米院面 玉花里 尹昇任神道碑) (0) | 2016.03.24 |
가덕면 삼항리 정재기불망비(加德面 三項里 鄭在箕不忘碑) (0) | 2016.03.15 |
가덕면 삼항리 조면하영세불망비(加德面 三項里 趙冕夏永世不忘碑) (0) | 2016.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