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안내면 도이리 후율당(安內面 挑李里 後栗堂) 본문

충북의 바람소리/옥천군(沃川郡)

안내면 도이리 후율당(安內面 挑李里 後栗堂)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9. 25. 09:38


안남면 도이리에 있는 후율당 입니다.

후율당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조헌(1544∼1592)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조헌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김경백 등과 의병 1,600여명을 모집하고 승병인 영규대사와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는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충청도 순찰사인 윤극형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 해산되어 700여명으로 금산전투에 참전했으나 모두 전사하였다.

 

건물 규모는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솟을대문과 돌로 쌓은 담장이 둘러져 있고, 뜰에는 금산전투에서 그를 대신하여 죽으려 했던 그의 아들 조완기의 효자각이 서 있다.

 

이곳에는 광해군 3년(1621) 판각한 『항의신편』125매와 『유림시판』10매, 선조가 내렸다는 『조서』1매를 보관하고 있다.



도이리는 동쪽으로 금적산이 있으며 서쪽 들로는 정방천이 흘러 금강으로 들어간다. 벼를 주로 재배하는 농촌마을이다. 자연마을로는 도리골(도리동), 못안(지내) 등이 있다. 도리골은 가장 중심되는 마을이며 변하여 도이리의 유래가 되었다. 못안은 도리골 북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앞에 못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문화유적으로 후율당과 조완기 효자문이 있다.도이리[Doi-ri, 挑李里] (두산백과)



조헌[1544년(중종 39) ~ 1592년(선조 25)]은 본관은 배천()이다. 자는 여식(), 호는 중봉()·도원()·후율(). 경기도 김포 출생. 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우()이고, 아버지는 응지()이다. 어머니는 차순달()의 딸이다. 이이()·성혼()의 문인이다

1555년(명종 10) 12세 때 김황()에게 시서()를 배웠는데, 집이 몹시 가난해서 추운 겨울에 옷과 신발이 다 해어졌어도 눈바람을 무릅쓰고 멀리 떨어진 글방 가는 것을 하루도 쉬지 않았으며, 밭에 나가 농사일을 도울 때나 땔감을 베어 부모의 방에 불을 땔 때에도 책을 손에서 떼지 않았다고 한다.

1565년 성균관에 입학했으며,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68년(선조 1) 처음으로 관직에 올라 정주목·파주목·홍주목의 교수를 역임하면서 사풍()을 바로잡았다.


1572년부터 교서관의 정자·저작·박사를 지내면서, 궁중의 불사봉향()에 반대하는 소()를 올려 국왕을 진노하게 하였다. 성절사(使) 박희립()의 질정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동환봉사 >를 지어 올렸다.

1575년부터 호조좌랑·예조좌랑·성균관전적·사헌부감찰을 거쳐, 경기도 통진현감으로 있을 때, 내노()의 횡행죄를 엄히 다스리다가 죽인 죄로 탄핵을 받아 부평으로 귀양갔다가 3년 만에 풀려났으며, 다시 공조좌랑·전라도도사·종묘서영()을 역임하였다.

1582년 계모를 편히 모시기 위하여 보은현감을 자청하여 나갔는데, 그 치적이 충청좌도에서 으뜸으로 손꼽히었다. 그러나 대간의 모함에 따른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가, 다시 공주목제독()을 지냈다.

1587년 동인 정여립()의 흉패함을 논박하는 만언소()를 지어 현도상소()하는 등 5차에 걸쳐 상소문을 올렸으나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다시 일본사신을 배척하는 소와 이산해()가 나라를 그르침을 논박하는 소를 대궐문 앞에 나아가 올려 국왕의 진노를 샀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옥천군 안읍밤티()로 들어가 후율정사()라는 서실을 짓고 제자 양성과 학문을 닦는 데 전념하였다. 1589년 지부상소()로 시폐()를 극론하다가 길주 영동역()에 유배되었으나, 이 해 정여립의 모반 사건으로 동인이 실각하자 풀려났다.

1591년 일본의 도요토미()가 겐소() 등을 사신으로 보내어 명나라를 칠 길을 빌리자고 하여, 조정의 상하가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을 때, 옥천에서 상경, 지부상소로 대궐문 밖에서 3일간 일본사신을 목벨 것을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문인 이우()·김경백()·전승업() 등과 의병 1,600여 명을 모아, 8월 1일 영규()의 승군()과 함께 청주성을 수복하였다.

그러나 충청도순찰사 윤국형()의 방해로 의병이 강제해산당하고 불과 700명의 남은 병력을 이끌고 금산으로 행진, 영규의 승군과 합진해서, 전라도로 진격하려던 고바야가와()의 왜군과 8월 18일 전투를 벌인 끝에 중과부적으로 모두 전사하였다. 후세에 이를 숭모하여 금산전투라 일컬었다.



1604년 선무원종공신() 1등으로 책록되고, 1734년(영조 10)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1883년(고종 20) 문묘에 배향되고, 옥천의 표충사(), 배천의 문회서원(), 김포의 우저서원(), 금산의 성곡서원(), 보은의 상현서원() 등에 제향되었으며, 1971년 금산의 순절지 칠백의총이 성역화되었다. 시호는 문열()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조 헌[趙 憲]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후율당 뜰안에 자리하고 있는 조헌의 아들인 조완기의 효자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