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문의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사과과수원
- 청풍문화재단지
- 선돌
- 문경새재
- 화양구곡
- 공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공산성 선정비
- 효자각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보성오씨
- 사인암
- 단지주혈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군북면 이백리 이지당 각자(郡北面 二栢里 二止堂 刻字) 본문
옥천군 군북면 이백리에 있는 이지당을 들어서기전에 좌측으로 바위가 보인다.이바위에 우암 송시열이 쓴 이지당이라는 글씨가 암각되여 있다.
이지당은 조선중기 성리학자인 중봉 조헌선생이 후학을 교육하던 서당으로 처음에는 각신동이라는 마을앞에 있었음으로 각신당이라 하였으나 그 뒤에 우암 송시열의 시전에 있는 "산이 높으면 우러러 보지 않을 수 없고 큰 행실은 그칠 수 없다 " 라는 문구에서 끝의"止" 자를 따서 이지당이라 하였다. 그 후 퇴락된 것을 1901년 광무 5년에 옥천읍 옥각리의 금씨, 이씨, 조씨, 안씨, 네 문중에서 재건한 것이 오늘에 이른다.
건물 구조는 목조 기와집으로 정면 일곱칸 측면 한칸의 팔작인데 가운데 삼칸은 대청이고 서편의 삼칸 중 두칸이 방이고 한칸은 부엌이며,부엌 위를 이층으로 하여 두 칸의 루각을 만들었다. 그리고 동편 한칸은 방이고 방위의 이층을 두칸의 루각을 만들어 여름에 사용하기에 좋도록 지었다. 이곳에는 송시열선생이 친히쓰신 "二止堂" 이라는 편액이 걸려있고 중봉조헌 선생이 친히 쓰신 "覺新書堂"이라는 현판은 향토자료관에 전시되여있다.
[향토전시관에 있는 각신서당(覺新書堂) 현판이다.]
옥천읍 옥각리의 금씨, 이씨, 조씨, 안씨, 네 문중에서 재건한 것이 오늘에 이른다.
그래서인지 금씨성을 가진 사람(琴達柱,琴志洙)들의 이름을 각자한것이 2군데나 있다.
우재선생(尤齎先生)이 각자한 시기는 숭정정묘(崇禎丁卯)년 1687년이다.
이지당중봉선생유상지소우재선생서(二止堂重峰先生遊賞之㪽尤齎先生書)이라고 각자되여 있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옥천군(沃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북면 증약리 관찰사심의신영세불망비(郡北面 增若里 觀察使沈宜臣永世不忘碑) (0) | 2016.11.06 |
---|---|
군북면 이백리 옥천이지당(郡北面 二栢里 沃川二止堂) (0) | 2016.11.05 |
군북면 증약리 찰방이기주휼민선정비(郡北面 增若里 察訪李基周恤民善政碑) (0) | 2016.11.05 |
군북면 증약리 찰방김대곤영세불망비(郡北面 增若里 察訪金大坤永世不忘碑) (0) | 2016.11.04 |
군북면 증약리 찰방이언순영세불망비(郡北面 增若里 李彦純永世不忘碑) (0) | 201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