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군북면 증약리(郡北面 增若里) 본문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향수고장 옥천군

군북면 증약리(郡北面 增若里)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11. 7. 22:14

 

증약리(增若里)는 원래 군북면 증약리로 불리워 오던 마을이다.

 

1739년의 기록에는 군북면 증약리라 하여 군내에서 가장 많은 287호가 살았으며. 이때는 이백리와 자모리까지 관할하였다. 1891년의 기록에는 증약리에는 증약리를 자모리, 비하동리 등 3개리로 나누어 증약리에 172호가 살았는데 이때도 이백리를 관할하였다.

 

1908년 군,면 조정 때 군북면을 군북일소면(郡北一所面)과 군북이소면(郡北二所面)으로 나누어 증약리는 군북일소면의 소재지였다. 1914년 다시 군북면으로 고치면서 증약리를 이백리와 증약리로 나누었다.

 

 

 

 

 

증약리라 부르게 된 것은 이곳에 증약찰방역(增若察訪驛)이 있었기 때문이다. 증약찰방역은 전국 40개 주요 역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까지 한양에서 동래까지 가는 길목에 위치한 마달령(馬達領)이라는 협곡을 지나야 했으므로 양산(양산) 순양역을 비롯, 이원 토파역, 옥천읍 가화역, 화인역, 회덕 전민역(대전) 등을 모두 관할하는 중요한 역이었다.

 

 

 

이곳에는 종6품인 찰방 외에 역리 3백55명이 근무를 했으며, 찰방비 및 선정비 8기가 마을 뒷편 산기슭에 보존되어 있다. 당시 마을이 컸었기 때문에 마을입구에는 '장터거리'라 하여 장이 섰던 자리가 남아 있고, '쇠마재비'라 하여 조정으로 진상하던 말을 쉬게 했다는 장소도 현재의 증약초교앞 철로변쯤으로 파악된다. 또한 찰방이 거주하던 관사는 현재 증약성결교회가 있는 자리로, 교회안에 주춧돌과 말매기돌, 중수상량문 원본이 보관되어 있다. 옥천-대전간 국도변에는 '증약찰방역유지비'가 세워져 있다.

 

 

 

 

 

군북면 증약리는 조선시대 한양(漢陽: 서울)에서 동래(東萊: 부 산)까지 가는 길목 중 중간이 된 다. 현재 옥천에서 마달령(馬達 領: 머들령) 고개를 넘어 대전으 로 가려면 경부고속도로를 거 슬러 오르는 협곡을 지나야 되 는데, 협곡 아래 있는 증약이 조선시대 전국 40개 중요 역 중의 하나인 증약 찰방역이 있 었던 곳이다. 이곳에는 찰방 1 명과 역리 355명이 근무하였으며, 남자종奴 28명, 여자종婢 22명을 두었다. 또한 대마(大 馬: 사람이 타는 좋은 말) 3필, 기마(騎馬, 보통 타는 말) 6필, 복마(卜馬: 짐 싣는 말) 4필을 두어 출장 중 인 관리나 공문서 전달에 사용되었다. 많은 사람들의 경비를 충당시키기 위하여 국가에서 관둔전이나 역둔토를 지급하여 주었는데, 지금의 이백伊栢, 자모自慕, 증약리의 전 농지가 역둔토였다. 현재 증약리 마을에는 당시 찰방들이 지역 주민들에게 선정善政을 베푼 공덕 을 기리기 위한 선정비 8개가 남아 있다.

 

 

 

자연마을로는 증약, 감로골, 비야골 등이 있고 문필봉, 딴뫼, 비석거리, 사막곶이(새매곶, 조막-새가 막 튀어나온 곳)라는 지명이 전한다. 1968년 축조한 증약소류지가 있으며, 2007년말 현재 증약리에 167호 394명, 감로리에 53호 99명, 비야리에 45호 106명이 살고 있다.


마을에는 660년 신라 문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유일한 다리 문화재인 청석교가 있었다. 청석교에는 이곳을 지나던 고려 강감찬 장군이 모기가 극성이라는 소리를 듣고 호통을 쳐서 모기를 쫓았다는 전설이 전한다.


청석교는 2001년 다리를 안내면 장계국민관광단지 향토전시관 앞으로 이전했다. 경부선 철로 증약터널과 관련해서는 터널옆으로 문같이 생겼다 하여 '문바위'라고 불린 바위가 있는데 터널이 개통되면서 문이 비로소 열렸다는 얘기와 함께 마을에 '대사동(大寺洞)이라는 큰 절터에서 가져간 부도가 현재 옥천경찰서 앞마당에 보관되어 있다.

 

 

 

1894년 동학농민전쟁기에는 증약일대에 1만3천명의 북접동학군이 일본군 및 관군을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여 공주 우금치로의 진군을 며칠동안 막았으며, 한국전쟁 당시에는 미군 24사단과 인민군 3사단이 마달령 산악지에서 옥천읍 서정리에 이르기까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단이슬’이라는 이름을 가진 감로리는 고리산 중턱의 절터 감로사에서 유래됐다. 어떤 가뭄에도 수량이 풍부해 감로사터 아래에서는 평평한 바위 위에서 물을 이용해 방아를 찧었다는 ‘물방아골’까지 있다.

 

 

 

 

 

비야리는 오랜 옛날, 치유할 수 없는 병에 걸려 전국을 떠돌던 옥천육씨 문중 사람이 마을샘을 발견하고 물을 마셔서 병을 치유한 끝에 사람들이 모여들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한다. 옹달샘 주위에는 200년 이상 된 향나무가 있다. 비야리에는 현재 대단위 전원주택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비야리에서 태어난 청암 송건호(宋建浩) 선생은 한국언론민주화운동의 산증인이다. 1926년 비야리에서 태어난 송건호 선생은 1975년 동아일보 편집국장 재직시 자유언론실천선언을 했던 후배기자들을 해임하자, 이에 항의하며 사임했다. 이후 언론민주화운동의 대표 인물로 활동했으며, 1985년에는 월간 `말'지를, 1988년에는 한겨레신문을 창간해 발행인 겸 대표이사로 활약했다.


1939년 개교한 증약초등학교가 있으며, 상추 등 채소를 많이 재배해 대전권 채소값을 좌우할 정도로 근교농업이 활발하다.[옥천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