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블완
- 화양구곡
- 효자문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선돌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티스토리챌린지
- 부도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경새재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각
- 보성오씨
- 화양동 암각자
- 한독의약박물관
- 사인암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산면 교평리 현감 박후제응불망비(靑山面 校平里 縣監 朴侯齊應不忘碑) 본문
승정원일기 135책 (탈초본 2945책) 고종 23년 2월 29일 계사 11/17 기사 1886년 光緖(淸/德宗) 12년
○ 忠淸監司沈相薰狀啓, 靑山縣監朴齊應牒呈內, 敦諭馳往傳諭于書筵官朴性陽處, 則呈單內, 伏以性陽, 猥蒙榮寵, 濫叨筵銜, 經年乞免, 尙今未遞, 只自泯默俟罪, 忽自蒙外, 恩諭復降, 十行諄諄, 有非賤臣所敢承當, 卽宜復控情實, 以冀恩斥, 而見今狗馬之疾, 漸成癃痼, 添歇無常, 神精怳惚, 數行文字, 亦無以構思。 若待少間, 則冞增逋慢之罪, 故反覆思量, 萬不獲已, 敢將私悰, 仰稟于城主閣下。 伏望劃卽報營, 以爲轉聞, 俾蒙鐫解之地是如, 玆以牒報亦爲白有等, 以緣由馳啓云云。 踏啓字。
첩정(牒呈)은 현재 고문서로서 전해지고 있는 것도 상당히 많이 있으며, 문서는 없어졌으나 그 내용을 베껴놓은 등록(謄錄)도 많이 남아 있다.
규장각도서 중의 각 도 감영의 관첩(關牒), 『동학란기록(東學亂記錄)』 가운데 순무사정첩보(巡撫使呈牒報)·선봉진정첩보(先鋒陣呈牒報) 등도 첩정을 등록해놓은 것이다.
향유사(鄕有司)나 면임(面任)이 수령에게 올리는 문서도 첩정의 서식을 쓴다. 첩정의 내용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서, 그 시대의 사회와 경제, 지방행정 등을 살피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첩정[牒呈]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비석의 상태나 승정원일기를 살펴보면 당시 박씨성을 가진 청산현감을 찾으니 글씨의 모양새를 보아 박제응의 불망비이다.
비석의 전면에는 행현감박후제*(行縣監朴侯齊*)라고 각자되여 있으며 비신의 파손으로 추측할 뿐이다.
아마 행현감박후제응선정불망비(行縣監朴侯齊應善政不忘碑)라고 각자되였을 가능성이 높다.
'충북의 바람소리 > 옥천군(沃川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산면 백운리 이묘인종법사부도(靑山面 白雲里 李妙忍宗法師浮屠) (0) | 2016.11.17 |
---|---|
청산면 교평리 현감 남정두애민선정비(靑山面 校平里 縣監 南定斗愛民善政碑) (0) | 2016.11.17 |
청산면 교평리 현감 송우연청덕선정비(靑山面 校平里 縣監 宋友淵淸德善政碑) (0) | 2016.11.16 |
청산면 의지리 풍천임씨열녀문(靑山面 義旨里 豊川任氏㤠女門) (0) | 2016.11.16 |
청산면 교평리 현감 홍경후선정불망비(靑山面 敎平里 縣監 洪景厚善政不忘碑) (0) | 2016.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