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청주박물관 사문유취(淸州博物館 事文類聚) 본문

박물관 구경하기/청주박물관(淸州博物館)

청주박물관 사문유취(淸州博物館 事文類聚)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6. 12. 28. 06:20



각 집마다 많은 문목()으로 나누어 고금의 사실과 시문을 내용의 유()에 따라 모아 엮은 중국 유서명(). 전집() 60권, 후집 50권, 속집 28권, 별집 32권, 신집() 36권, 외집() 15권. 유집() 15권. 전 · 추 · 속 · 별집 4집은 송나라 축목()이 엮은 것이고, 신 · 외 2집은 원() 부대용()이 엮은 것이며, 유집은 원() 축연()이 엮은 것인데, 이들을 한데 묶은 것은 누구인지 확실치 않다.

편찬체제는 대개 <예문유취()>나 <초학기()>의 그것을 모방하여 약간 변동시킨 것에 불과하다. 이 책에 인용된 내용이 간혹 틀린 곳이 없지 않으나 전현()들의 문집 기록으로서 그 전체가 오늘날까지 전해 오지 못하는 것들을 고스란히 인용한 것이 특징이다. 신 · 외 2집은 편찬체제에 있어서 아무런 변동이 없고 인용도 퍽 잡다하나, 원대에 있던 고적()을 많이 인용하고 있어 참고가 된다. 각 집의 문목은 각각 다음과 같다.



전집 13부() : 천도() · 천시() · 지리() · 제계() · 인도() · 사진() · 선불(彿) · 민업() · 기예() · 악생() · 영질() · 신귀() · 상사().

후집 14부 : 인륜() · 창기() · 노복() · 초모() · 곡채() · 재목() · 죽순() · 과실() · 화훼() · 인충() · 개충() · 모린() · 우충() · 충치.

속집 13부 : 거처() · 향다() · 연음() · 식물() · 등화() · 조복() · 관구 · 의금() · 악기() · 가무() · 새인() · 진보() · 기용().

별집 9부 : 유학() · 문장() · 서법() · 문방() · 예악() · 성행() · 사진() · 관정() · 인사().

신집 15부 : 삼사() · 삼공() · 성관() · 중서성() · 상서성() · 성속() · 육조() · 추밀원() · 어사대() · 제원() · 국사원() · 제사() · 제감() · 전사(殿) · 제고국().

외집 9부 : 동궁관() · 육친부() · 왕부관() · 절사(使) · 통군사() · 도사사(使) · 제제거() · 노관() · 현관().

유집 19부 : 삼사() · 추밀원() · 성관() · 제원() · 동궁관() · 국사원() · 육조() · 사감() · 성속() · 봉작() · 왕부() · 절사(使) · 전사(殿) · 통군사() · 부사() · 감사() · 제제거() · 노관() · 궁관().

한편, <사문유취>가 그 체재를 모방한 <예문유취>( )의 46문류()중에는 천() · 세시() · 지() · 책() · 군() · 산() · 수() · 부명() · 제왕() · 후비() · 저궁() · 인() · 예() · 악() · 직관() · 봉작() · 치정() · 잡문() · 무군기() · 거처() · 산업() · 의관() · 의식() · 복식() · 주거() · 식물() 등의 항목이 나열되어 있다.

사문유취 [事文類聚]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