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평읍 미암리 자양마을(曾坪邑 彌岩里 紫陽마을) 본문

내고장풍경화둘러보기/인삼하면 증평군

증평읍 미암리 자양마을(曾坪邑 彌岩里 紫陽마을)

충북나그네(푸른바다) 2017. 4. 23. 11:12



증평읍 미암리에 있는 자연마을 입니다.



미암4리(彌岩四里) : ㆍ대지랭이/대자양(大紫陽) : ‘시화’에서 서북쪽으로 1.5km 거리에 있는 마을이다. 두타산 기슭에 있는 마을로, 골이 깊어서 ‘대지랭이’로 불렸다 한다. 또는 ‘대봉산(大峰山)’ 자락이어서 ‘대지랭이’가 되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대지랭이’는 ‘대지랑이’의 이모음역행동화 어형이다. ‘대지랑이’는 ‘대지랑’에 접미사 ‘이’가 붙은 어형이다. ‘대지랑’은 ‘대지낭’의 변화형으로, ‘대지(大地)’와 ‘낭’으로 나뉜다. 여기서 ‘낭’은 ‘낭떠러지’를 뜻하니, ‘대지낭’은 ‘큰 땅의 낭떠러지’로 풀이되고, ‘대지낭이’나 변화형 ‘대지랭이’는 ‘큰 땅의 낭떠러지가 있는 마을’로 풀이된다. 이 마을은 달리 ‘대자양’으로도 불리는데, 이는 ‘양지바르고 아늑해 살기 좋은 곳’이라는 뜻이라 한다. 그러나 이도 ‘대지랭이’를 음차(音借)한 이름으로 보아야 한다. 『호구총수(戶口總數)』(정조 13년, 1789)에는 청안현 북면에 속한 ‘대자랑리(大自郞里)’로,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자양(紫陽)’으로 표기되어 있다.


대봉골(大峰-) : ‘대지랭이’ 입구에서 대봉산으로 가는 골짜기이다. ‘대봉골’은 ‘대봉’과 ‘골’로 나뉘며, ‘대봉산으로 가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동현[東軒]/도안(道安) : ‘대봉산’ 밑을 가리킨다. 이곳에 도안현의 동헌이 있었다고 해서 ‘동현’ 또는 ‘도안’으로 표기돼 왔다고 한다. ‘동현’은 ‘동헌’의 변화형이고, ‘도안’은 ‘도안현’을 뜻하는 이름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조선시대에 발간된 각종 기록에 따르면 태종 5년(1405)까지 존속했던 도안현의 현청(縣廳)으로 추정된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도 청안군 북면의 ‘도안(道安)’으로 표기되어 있다. 현재 ‘사임당어린이집’ 뒤쪽에서 고려시대~조선시대 기와편이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서도 이런 추정은 가능하다.


미암소류지(彌岩小溜池) : ‘대지랭이’에 있는 못이다. ‘미암소류지’는 ‘미암’과 ‘소류지’로 나뉘며, ‘미암리에 있는 못’으로 풀이된다.


부채당골[-堂-] : ‘대지랭이’에서 ‘산너머길골’ 아래 왼쪽으로 두타산에 오르는 골짜기이다. ‘부채당골’은 ‘부채당’과 ‘골’로 나뉘며, ‘부채당’은 ‘부처당’의 변화형이다. 따라서 ‘부채당골’은 ‘부처당이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부처당‘은 ’불당(佛堂)‘과 같은 뜻이다. 이곳엔 예전에 암자가 있었다.


산너머길골(山-) : ‘대지랭이’에서 북쪽으로 두타산에 오르는 골짜기이다. 두타산을 넘어 진천과 도안면 연촌리로 갈 수 있다. ‘산너머길골’은 ‘산너머길’과 ‘골’로 나뉘며, ‘산너머길’은 다시 ‘산너머’와 ‘길’로 나뉜다. 따라서 ‘산너머길골’은 ‘산 너머로 가는 길에 있는 골짜기’로 풀이된다.













평읍